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1968년 '청와대 습격사건' 이후 신원 파악 위해 처음 발급됐죠
입력 : 2025.11.04 03:30
주민등록증
-
- ▲ 행정안전부가 제작한 주민등록증 샘플. /행정안전부
조선시대 때만 해도 호패를 사용했어요. 나무나 상아 조각에 이름과 나이, 출신지 같은 정보를 새겨 넣은 신분증이었죠. 신분에 따라 적는 내용이 달랐다고 합니다.
6·25전쟁이 끝난 뒤에는 '도민증'이라는 신분증이 생겼어요. 전쟁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아 나라 안이 혼란스러웠고, 피란민이나 월남한 사람이 많아서 누가 누구인지 확인하기 어려웠답니다. 정부는 사람들의 신원을 정확히 파악하고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도민증을 발급했어요.
도민증에는 이름, 출생지, 가족 관계, 직업 같은 정보가 들어갔어요. 하지만 불편한 점도 있었답니다. 다른 지역으로 이사하면 그 도민증을 반납하고, 새로 이사한 지역에서 다시 발급받아야 했죠.
그러다 전 국민이 통일된 신분증을 쓰는 '주민등록증' 제도로 바뀐 건 바로 '김신조 사건'이 계기였어요. 이 사건은 1968년 1월 21일, 김신조를 비롯한 북한 무장 공작원들이 서울로 몰래 침투해 박정희 당시 대통령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사건입니다.
사실 박정희 대통령은 그보다 앞서 1965년에 주민등록증을 발급하려 했어요. 하지만 당시 국민들은 "정부가 국민을 통제하려는 제도"라며 반대했기 때문에 시행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김신조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국민의 신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도민증을 폐지하고 주민등록증을 도입했죠. 향토예비군 제도와 고등학교의 '교련 과목'도 이 사건을 계기로 만들어졌답니다.
주민등록증은 1968년 11월 21일부터 발급됐어요. 1호와 2호 주민등록증은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 대통령과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받았습니다. 하지만 처음 만들어진 주민등록증은 종이로 제작돼 위조나 훼손이 쉽다는 문제가 있었어요. 이 문제를 막기 위해 비닐로 코팅을 했지만, 주소가 바뀔 때마다 주민등록증 뒷면에 새 주소를 적으려면 코팅을 벗겨야 했어요. 그래서 오히려 주민등록증이 자주 손상되곤 했답니다. 이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1999년부터는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주민등록증이 도입되었어요. 카드 안에는 홀로그램이 들어 있어 위조나 변조를 막을 수 있게 됐지요.
지금의 주민등록번호는 앞자리 여섯 자리가 생년월일을, 뒷자리 일곱 자리가 성별과 등록 지역 등을 뜻합니다. 그런데 처음에는 지금과 달랐어요. 과거에는 앞자리 숫자가 '등록 지역'을 나타내는 번호였답니다. 이 제도는 1970년대에 들어서야 지금처럼 생년월일과 성별이 포함된 형태로 바뀌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