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철새처럼, 추위 피해 5000㎞ 날아요
입력 : 2025.10.22 03:30
제왕나비
최근 미국 뉴욕에 있는 한 야생동물 재활 센터가 올린 동영상이 화제예요. 날개를 다쳐서 날지 못하게 된 나비에게 새 날개를 붙여주는 장면이었죠. 사람의 도움으로 다시 훨훨 날 수 있게 된 이 나비는 제왕나비(Monarch Butterfly·작은 사진)예요. 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배추흰나비나 호랑나비처럼 미국인들이 토종 나비로 친숙하게 여긴답니다.
-
- ▲ 위키피디아
이 경고가 허풍은 아니랍니다. 제왕나비는 밀크위드(milkweed)라고 부르는 식물의 잎 아래에 알을 낳는답니다. 갓 부화한 애벌레는 몸길이가 1㎝도 되지 않는데, 밀크위드 잎을 갉아먹으면서 어른 나비가 될 준비를 해요. 그런데 이 잎에는 독성 물질이 있어서 애벌레 몸속에 남게 된대요. 번데기를 거쳐 어른 나비가 되어도 그 독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새나 개구리 같은 포식자들이 제왕나비를 잡아먹었다간 배탈이 나거나 아프게 된답니다.
모든 제왕나비가 긴 여행을 하는 건 아니에요. 제왕나비는 봄부터 여름, 그리고 초가을까지 걸쳐 번식하는데, 가장 늦게 태어난 세대가 겨울을 피하려고 남쪽으로 날아갑니다. 그래서 봄과 여름에 태어난 나비들은 보통 2~5주밖에 살지 못하지만, 늦여름이나 초가을에 태어난 나비들은 길게는 9개월까지 산다고 해요. 남쪽으로 날아간 제왕나비들은 멕시코에서 겨울을 보낸 뒤, 다시 봄이 오면 북쪽으로 되돌아옵니다.
제왕나비들은 장거리 비행을 할 때 기온이 떨어지는 밤이 되면 잎이 무성한 소나무·전나무·삼나무 등에 모여들어 쉬어요. 그리고 해가 뜨면 다시 비행을 시작해요. 이때 제왕나비의 쉼터가 되는 나무들은 수백·수천 마리의 나비로 뒤덮여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내지요<큰 사진>. 제왕나비는 장거리 여행을 위한 힘을 비축하기 위해 다른 나비들처럼 이 꽃 저 꽃을 찾아다니며 꿀을 빨아 먹습니다. 그 과정에서 꽃가루를 옮겨 숲의 식물들이 번식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