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기후와 날씨] 산 꼭대기 빙하도 녹고 있어… 세계 1500만 명이 '빙하 홍수' 위험 처했죠

입력 : 2025.06.19 03:30

산악빙하

파키스탄 북부 카라코람 산맥에 있는 발토로 빙하예요. 약 60㎞에 걸쳐 산악빙하가 펼쳐져 있습니다. /위키피디아
파키스탄 북부 카라코람 산맥에 있는 발토로 빙하예요. 약 60㎞에 걸쳐 산악빙하가 펼쳐져 있습니다. /위키피디아
지난달 28일 스위스 알프스의 한 산간 마을이 거대한 산사태에 휩쓸렸습니다. 산 위에 있는 빙하 일부가 붕괴하면서 토사가 쏟아져 내린 건데요. 이로 인해 마을의 90%가 순식간에 흙과 돌에 뒤덮였습니다. 최근 급격한 기후 변화로 세계 곳곳에서 이런 일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고산 지대의 빙하인 '산악빙하'가 급속히 녹아내리면서 생기는 일입니다.

산악빙하는 남극 대륙이나 그린란드에 있는 거대한 대륙빙하나 남극해와 북극해에 떠 있는 바다빙하와는 다른 종류입니다. 히말라야나 알프스 산맥처럼 높은 산에 자리 잡은 비교적 작은 빙하지요.

하지만 산악빙하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작지 않습니다. 산악빙하는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덜 뜨겁게 하고,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는 지구 기온을 낮추는 자연 에어컨 역할도 합니다. 또 여름철에는 빙하 얼음이 녹으며 생긴 물이 흘러내려 인근 지역의 식수와 농업용수, 수력발전의 근원이 되지요. 실제로 중국·인도·네팔 등 많은 나라는 히말라야에서 흘러나온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산 위에 얹힌 것 같은 아름다운 흰색의 얼음은 관광자원으로도 큰 가치가 있지요.

산악빙하의 도움을 받는 것은 인간뿐만이 아니에요. 빙하에는 다양한 영양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빙하가 녹으면 이 영양분들이 하류로 흘러가 강 하구나 해양에 영양분을 보충하고, 플랑크톤 번식을 촉진합니다. 먹이사슬의 기초가 되는 생물들이 자라는 데 도움을 주면서 해양 생태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지요.

이런 산악빙하가 기후 변화로 인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습니다. 산악빙하는 기온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국제통합산악개발센터(ICIMOD)는 지구 기온이 2도만 올라가도 히말라야 빙하의 절반이 녹고, 4도가 오르면 80%가 사라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갈수록 눈 대신 비가 많이 내리는 것도 문제예요. 원래 높은 산에 눈이 쌓여야 빙하가 유지되는데,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강수 형태가 눈에서 비로 바뀌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산악빙하가 많이 녹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빙하가 많이 녹다 보니 볼리비아와 페루를 가로지르는 안데스산맥의 빙하 중에는 1980년대 이후 절반 넘게 사라진 것도 있어요. 스위스에서는 2022년부터 2023년까지 단 2년 동안 전체 빙하의 약 10%가 사라졌다고 합니다.

산악빙하가 빠르게 녹아내리면서 새로운 재난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산사태입니다. 빙하에서 나오는 물로 인해 흙과 바위가 한꺼번에 쏟아져 내리는 것이죠.

또 다른 문제는 '빙하 호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빙하 호수는 빙하가 녹아서 생긴 물이 산 중턱에 고인 것인데, 점점 커지다 보면 제방이 무너져 인근 지역에 큰 피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지금도 세계적으로 1500만명이 빙하 호수의 홍수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합니다.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