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식물 이야기] 中 서부가 원산인 장미과 나무… 양귀비는 자신을 이 꽃에 비유했대요
입력 : 2025.04.28 03:30
서부해당
-
- ▲ 서부해당은 벚꽃보다 진한 분홍색을 띠고 있어요. 벚꽃이 떨어지는 4~5월이면 화사한 분홍색 꽃이 나무를 뒤덮을 정도로 풍성하게 피죠. /김민철 기자
서부해당은 중국 원산의 장미과 나무인데, 꽃이 예뻐서 우리나라 전국 화단과 공원에 심어 가꾸고 있습니다. 이름에서 '서부'는 중국 중서부 내륙에서 주로 자란다고 붙인 것이라고 합니다. 또 '해당(海棠)' 하면 우리나라에서는 해당화를 떠올리지만 중국에서는 야생 사과 종류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서부해당은 꽃이 참 곱습니다. 꽃봉오리는 진한 붉은색이지만 피면서 연한 분홍색으로 변합니다. 다 피면 복사꽃보다는 조금 연하고 벚꽃보다는 진한 분홍색을 띠는데 이 꽃이 만개하면 정말 화사합니다. 그래서인지 이 나무 꽃이 중국 고전에서 여성의 아름다움, 애틋한 사랑을 상징하는 꽃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양귀비가 술이 덜 깬 자신을 해당화에 비유했다는 고사에 나오는 해당화가 서부해당이라고 합니다.
4~5월 잎과 함께 꽃이 피는데, 가지 끝에 4~8개가 모여 달립니다. 꽃잎은 5장이지만 겹꽃으로 피는 것도 있습니다. 벚꽃이 막 지고 겹벚꽃이 필 때 서부해당 꽃도 함께 피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서부해당은 학명이 'Malus halliana'여서 '할리아나꽃사과'라고도 합니다. 또 긴 자주색 꽃자루가 아래로 실처럼 늘어지는 모양 때문에 '수사(垂絲·늘어진 실이라는 뜻)해당'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꽃자루가 2~4㎝로 긴 편입니다. 하지만 서부해당과 수사해당은 다른 나무라는 주장도 있는 등 이름이 아직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서부해당과 비슷하게 생긴 나무가 몇 개 더 있습니다. 꽃사과, 아그배나무와 야광나무 등이 있는데 모두 사과나무속(Malus)입니다. 아그배나무와 야광나무는 꽃자루가 2~4㎝로 긴 것은 서부해당과 닮았지만, 꽃이 연분홍색으로 피었다가 흰색으로 변하는 점이 다릅니다. 꽃의 생김새가 거의 비슷한 아그배나무와 야광나무는 잎을 보면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일부 잎이 갈라져 있으면 아그배나무, 갈라져 있는 잎이 없으면 야광나무입니다.
아그배나무라는 이름은 작은 열매가 열리는 배나무 비슷한 나무라는 뜻의 '아기배나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이름에 '배'가 들어갔지만 사과나무에 더 가까운 나무입니다. 야광나무는 강원도를 비롯한 백두대간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요즘엔 야광나무를 가로수로 심어 놓은 곳도 있습니다.
도심 화단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꽃사과도 서부해당과 비슷하게 생겼습니다. 서부해당처럼 꽃이 아름다워 전국에서 관상수로 심는 나무입니다. 이 나무는 꽃은 물론 잎도 사과나무와 아주 비슷하지만 가을에 열리는 열매가 작고 열매 끝에 꽃받침 자국이 남아 구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