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동물 이야기] 겁먹고 땅 속에 머리 파묻는 타조? 사실은 알 돌보기 위해서래요
입력 : 2025.04.02 03:30
| 수정 : 2025.04.02 03:35
타조
-
- ▲ 타조는 생후 3~4년이 되면 완전한 어른이 되지요. 수컷(왼쪽)은 검은색과 흰색 깃털을, 암컷(가운데·오른쪽)은 갈회색 깃털을 갖고 있어요. /위키피디아
타조는 지구상에서 가장 크고, 가장 무거운 새예요. 다 자란 수컷의 경우 키는 2.7m에 이르고, 몸무게는 130㎏까지 나가요. 야생 타조는 지금 아프리카에서만 볼 수 있지만 과거엔 중동이나 인도에도 있었어요. 잘 알려진 대로 타조는 펭귄과 더불어 날지 못하는 새예요. 과학자들은 타조도 예전에는 다른 새들처럼 날았지만 육상 생활에 적응하면서 비행 기능이 퇴화된 것으로 보고 있어요.
타조는 대신 다른 능력을 발달시켰는데, 대표적인 게 달리기랍니다. 타조는 시속 70㎞까지 속도를 낼 수 있어요. 이때 한 번 내닫는 거리가 4m에 이르죠. 이런 속도로 5분 넘게 달릴 수 있을 만큼 지구력도 뛰어나요. 기다란 목과 왕방울만 한 눈 덕분에 먼 거리에서도 자신을 노리는 포식자를 빨리 알아챌 수 있답니다.
타조와 관련된 이야기 중에 '천적을 만나면 겁에 질려서 머리를 모래 속에 파묻는다'는 말이 있어요. 이 때문에 덩치만 크고 겁도 많고 어리석은 새라는 이미지가 생겨났는데요. 이는 사실이 아니랍니다. 타조가 간혹 머리를 땅속에 파묻는 것은 맞지만, 이는 무언가를 무서워해서가 아니라 구덩이 속에 있는 알이 순조롭게 부화할 수 있도록 하나하나 돌보기 위해서예요.
짝짓기 철이 되면 수컷은 검은색과 흰색 깃털이 난 꼬리를 부채처럼 활짝 펼친 뒤 흔들며 암컷을 유혹해요. 수컷 한 마리가 여러 마리의 암컷과 짝을 짓고 암컷들은 한 둥지에 모여 알을 낳는데요. 이렇게 모인 알이 많게는 쉰 개를 훌쩍 넘기도 해요. 부모 타조는 알을 정성스럽게 돌보는데, 이를 보고 오해해 '겁 많은 바보 새'라는 편견이 생겨난 거죠.
42~46일 정도 지나면 닭만 한 새끼 타조가 알 껍질을 깨고 나와요. 부모 타조는 새끼들이 뙤약볕에 노출되지 않도록 날개를 활짝 펴서 파라솔 역할을 해줘요. 정성스러운 보살핌 속에 새끼 타조는 부화 후 1년이 되면 부모 타조와 비슷한 크기로 자라나요. 그리고 생후 3~4년이 되면 완전한 어른이 되지요. 수컷은 검은색과 흰색 깃털을, 암컷은 갈회색 깃털을 갖게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