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사소한 역사] 바다에서 충분한 식수 확보하기 위해 미국 해군이 발명했대요
입력 : 2024.07.16 03:30
정수기
- ▲ 정수기에서 물이 나오고 있는 모습. /코웨이
선사시대부터 인류는 자연에 존재하는 샘물이나 강물 등을 마셨어요. 하지만 이는 위험하기도 했어요. 겉으론 깨끗해 보여도 박테리아 등 미생물이 있어서 자연 상태 물을 그대로 마셨다가 탈이 날 수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인류는 물을 안전하게 마실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죠. 그러다 물을 끓이거나 한 번 걸러내면 비교적 안전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기원전 2000년쯤 고대 인도 문헌에는 물을 끓이면 불순물이 제거된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해요. '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고대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물을 끓이고 여과해 마시는 걸 권장했다고 해요. 사람들은 물에 술이나 식초를 타서 마시기도 했습니다. 로마 병사들이 오염된 물을 마시고 배탈 나는 걸 막기 위해 물에 식초를 섞은 음료를 지급했다는 얘기도 전해져요.
18세기 산업혁명으로 인류는 깨끗한 물을 확보하기 더욱 어려워졌어요. 공장 폐수로 강이 오염되는 문제도 심각했죠. 사람들은 물에서 각종 오염 물질을 분리하고 제거할 수 있는 분리막을 개발했어요. 분리막은 식물을 활용해 만들었다고 합니다.
정수기가 발명된 건 1940년대예요. 당시 일본과 태평양전쟁 중이던 미국 해군이 바다 한가운데에서 충분한 식수를 확보하기 위해 고안한 게 정수기라고 합니다. 바닷물에서 염분을 제거해 담수로 바꾸는 기계를 만든 것이죠. 이후 미군은 다양한 전쟁 현장에서 정수기를 사용했는데요. 우리나라에는 1950년 발발한 6·25전쟁 때 미군의 정수기가 알려졌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정수기는 1960년대 후반 상품화됐어요.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건 1980년대예요. 이후 1991년 3월 낙동강으로 페놀이 유출되는 사고 등이 발생하면서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게 됐고, 그때부터 정수기가 대중화됐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