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무대 위 인문학] 고대 이집트서 등장… 우리는 '꼭두각시놀음'이 최초예요
인형극
- ▲ 체코와 슬로바키아 지역 인형극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인형들. 두 지역의 인형극은 2016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됐어요. /위키피디아
유네스코 산하 국제기구인 국제인형극연맹(UNIMA)이 오는 2025년 강원도 춘천에서 '세계인형극축제'를 열어요. 이 단체는 1929년 체코 프라하에서 결성됐어요. 4년에 한 번 축제와 함께 총회를 여는데, '공연계의 올림픽'에 빗댈 정도로 역사와 전통이 깊답니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중국에 이어 아시아 세 번째 개최국이에요.
이번 개최지 선정으로 우리나라의 인형극을 세계에 선보일 수 있게 됐어요. 춘천은 오랫동안 인형극과 인연이 깊은 도시인데요. 1989년 시작된 '춘천인형극제'는 올해로 35회째를 맞아요. 2001년 개관한 춘천인형극장에서는 1년 내내 다양한 인형극을 선보이고 있죠. 올해에는 인형극 제작을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 춘천국제인형극학교 개관도 예정돼 있답니다.
꼭두각시놀음으로 시작된 우리 인형극
우리나라 최초의 인형극은 민속 인형극인 '꼭두각시놀음'으로 알려져 있어요. 고구려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오다가 조선시대 남사당패에 의해 전승됐죠. 이후 오랫동안 명맥이 끊겼는데, 민속학자 심우성씨가 1959년 문헌 등으로 재연하며 복원되기 시작했어요.
인형극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한 건 1960년대 초반이에요. 이 시기 방송사가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에서 인형극을 선보였죠. 국내 최초의 인형극 제작자로 불리는 조용수씨가 1961년 인형극 전문 제작 단체인 '현대인형극회'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이 방송에서 줄로 인형을 움직이는 '줄 인형극'을 처음 시도했죠.
볼거리가 없던 당시 TV 속에서 흘러나오는 인형극만큼 신나는 구경거리가 없었다고 해요. 지금처럼 녹화방송 기술이 없었을 때라, 생방송으로 줄 인형 연기를 선보였대요. 이때 200편이 넘는 인형극이 소개됐어요.
1966년에는 공연장에서 인형극이 소개됐어요. 1961년 1월 창립된 '서울인형극회'가 꼭두각시놀음을 무대에 올린 거예요. TV에서 보던 인형극을 무대에서 직접 볼 기회가 생긴 거죠. 꼭두각시놀음은 1964년 국가지정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기도 했어요.
북한과 유럽의 인형극
인형극의 발상지는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로마라고 전해져요. 연극 비평가이자 작가인 프랑스의 샤를 마그닌(1793~1862)은 저서 '유럽 인형극의 역사'(1852)에서 기원전 2000~3000년쯤 이집트에서 인형극이 시작된 것으로 추정했어요.
인형극의 역사는 한국보다 유럽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왔어요. 그중 체코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부터 유럽 인형극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국가예요. 체코의 부유한 가정에는 대부분 가정용 인형 극장이 있었어요. 인형극에 대한 사랑을 짐작할 수 있죠.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선보이는 인형극은 2016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도 등재됐어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부터 이어지던 인형극 양식을 하나의 장르로 인정한 거예요. 두 국가는 현재까지도 인형극의 전통을 고수하면서, 전문 인력을 꾸준히 양성하고 있어요. 그러면서 세계 인형극을 대표하는 나라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죠.
북한 어린이들은 어떤 인형극을 볼까요? 북한의 인형극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전래동화, 공상 과학, 계급 교양과 애국주의, 우화·동화 같은 다채로운 주제를 다루는데요. 극에 사용되는 인형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가 있어요. 막대기가 달린 '대잡이 인형'을 손으로 움직이기도 하고요, 인형의 손발 등에 줄을 연결해 조종하는 '줄 인형', 세 손가락을 인형 안에 끼워 움직이는 '손가락 인형'도 있답니다.
북한의 대표적인 인형극단으로는 평양인형극단이 있어요. 1961년 8월 창립됐죠. 평양시 모란구역 전승동에 있는 평양인형극장을 전용극장으로 써요. '발곡의 왕'(1956년), '세 동무'(1969년), '꿀꿀이'(1971년), '곰이 받은 선물'(1993년), '야옹이의 방울소리'(2000년) 등 연간 100여 편의 작품을 선보이면서, 총 1만회 이상 공연했어요.
어린이 위한 공연에서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최근 인형극은 어린이를 위한 공연이라는 인식을 넘어 다양한 문화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어요. 지난해 화제가 됐던 넷플릭스 제작 한국 드라마 시리즈인 '오징어 게임'에서도 인형극 소품이 일부 활용됐어요. 대표적으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인형이 있어요. 채경선 미술감독은 "얼굴 표정과 의상을 다양하게 스케치한 뒤 그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을 골라서 마리오네트(줄로 움직이는 인형극) 같은 느낌으로 완성한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어요.
인형극 연출 기법을 활용한 뮤직비디오로 큰 호응을 얻은 사례도 있어요. 방탄소년단(BTS)과 노래 '유니버스'를 부르기도 했던 세계적인 록 밴드 콜드플레이의 곡 '대디(daddy)'예요. 이 뮤직비디오는 바다에서 길을 잃고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한 소녀의 이야기를 애니메이션으로 담고 있어요. 감독은 아버지에 대한 소녀의 조각난 기억을 보여주기 위해 대상을 조금씩 움직여 촬영한 뒤 이어붙여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퍼핏 애니메이션' 기법을 활용했죠.
전통 인형극의 한계를 넘어 최신 기술을 접목하기도 하죠. 컴퓨터 그래픽으로 3차원(3D) 가상 세계에 인형과 같은 캐릭터를 구현하고, 사람의 몸에 기계를 부착해서 캐릭터에 실시간 움직임을 반영하는 거예요. 이를 '모션 캡처 기술'이라고 불러요. 관객이 캐릭터와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훨씬 더 극에 몰입할 수 있죠. 이처럼 인형극의 변신은 무궁무진하답니다.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퍼핏 애니메이션 기법에는 스톱 모션(stop motion)이 활용돼요. 촬영 대상의 움직임을 동영상처럼 연속으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한 장면씩 조금씩 움직여서 촬영한 뒤 이를 연속으로 영사해 구현하는 제작 기법을 뜻하죠. 이런 기법은 과거 컴퓨터 그래픽이 발달하기 이전 특수 효과를 위해 사용됐어요. 점토나 인형, 레고 블록 같은 다양한 장난감에 변화를 주며 찍은 다음 이어붙여 마치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거예요. 촬영 자체는 단순하지만 많은 노동력과 집중력이 필요한 작업이에요. 1분의 영상을 만들기 위해 약 1500장의 사진을 이어붙여야 한답니다.
- ▲ 체코와 슬로바키아 지역 인형극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인형들. 두 지역의 인형극은 2016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됐어요. /위키피디아
- ▲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 게임’에는 인형극 소품 인형이 활용됐어요. /넷플릭스
- ▲ 2007년 서울 페스티벌에서 공연된 꼭두각시놀음. /유네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