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백악기 공룡도 먹었다는 호주 '울레미 소나무'… 잎 두껍고 넓적해요

입력 : 2021.09.27 03:30

다양한 소나무들

폰데로사 소나무 /위키피디아
폰데로사 소나무 /위키피디아
코로나 사태가 길어지면서 외국 여행 길이 막혀 사람들은 인터넷이나 책을 보면서 이국적인 풍경을 상상한다고 해요. 그렇게 떠올리는 외국 풍경에 '식물'이 포함돼 있지요. 식물은 지구에 처음 생겨난 이래로 나라마다, 지역별로 독특하게 진화해왔기 때문이지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나무만 해도 다른 나라에선 아주 다른 모습으로 자라고 있어요. 멀리 호주나 칠레, 폴리네시아섬에 사는 소나무들을 볼게요. 이 지역에 있는 소나무들은 우리 소나무들이 '소나뭇과(科)'에 속하는 것과 달리 '아라우카리아과(科)'에 속해요. 그런데도 잎이 뾰족하고 키가 크다는 이유로 '소나무(pine)'로 통해요.

아라우카리아과 소나무들은 약 2억년 전부터 살았던 고대 침엽수예요. 중생대 마지막 지질시대인 백악기까지 번성하다 6600만년 전 신생대가 시작되면서 북반구에선 대부분 자취를 감췄고 남반구에서만 독특한 형태로 살아왔어요. 대표적인 게 태평양 남서부 뉴칼레도니아에 사는 '뉴칼레도니아 소나무'예요. 이 소나무는 크게는 60m 이상 자라고, 가지가 짧아요. 우리나라 소나무가 옆으로 가지를 넓게 뻗어 종(鐘) 같은 모양이라면, 뉴칼레도니아 소나무는 마치 뾰족한 송곳처럼 생겼어요.

호주에는 '울레미 소나무'란 게 있어요. 공룡이 먹었다고 해서 '공룡 소나무'로도 불리는데 화석으로만 존재해 그동안은 멸종된 줄 알았죠. 그런데 1994년 시드니 인근 협곡에서 100여 그루가 발견됐어요. 우리나라 소나무 잎은 가지 위에 2~3개씩 모여서 나는데, 울레미 소나무 잎은 가지를 따라 약간 두껍고 넓적하게 자라요. 울레미 소나무는 우리나라 여러 식물원에서도 만날 수 있어요. 올 초 국립세종수목원에서 국내에선 처음으로 꽃을 피우기도 했답니다.

북반구에 사는 소나무들은 우리 소나무와 마찬가지로 '소나뭇과'에 속하고 생김새도 더 닮았어요. 미국 서부 로키산맥에는 키가 80m까지 자라는 '폰데로사소나무'가 있어요. 이 지역은 산불이 자주 일어나는데, 폰데로사소나무는 화상을 입으면 송진을 화상 부위에 흘려 스스로 치유하는 능력이 있다고 합니다. 옐로스톤 국립공원에 사는 '로지폴소나무'는 평소엔 솔방울 비늘 사이가 송진으로 막혀 있다가 온도가 45~60도 되면 깨지면서 씨앗을 퍼뜨릴 수 있다고 해요. 이는 산불이 자주 나는 특성 지형에서 살다 보니 그 상황을 번식의 계기로 삼으면서 살아남을 수 있게 진화한 것이란 해석입니다.

유럽에서 러시아에 걸쳐 자생하는 '구주(歐洲)소나무'는 우리나라 소나무와 생김새가 아주 비슷하고 세포 모양까지 유사해 DNA를 분석해야만 구별이 가능해요. 이 때문에 2008년 화재로 소실된 국보 1호 숭례문을 복원할 때 우리나라 소나무가 아니라 구주소나무를 쓴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가 DNA 분석으로 국내산 소나무라는 게 밝혀지기도 했습니다.

울레미 소나무 /위키피디아
울레미 소나무 /위키피디아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