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법학에세이] 명백한 해악 없다면 '표현의 자유' 최대한 보장해야
입력 : 2021.01.06 03:30
솅크 재판
미국 헌법은 1787년 처음 만든 뒤 고칠 필요가 생기면 전체를 바꾸지 않고 일부만 고쳐서 덧붙이는 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수정 헌법'이라고 부릅니다. 미국 수정 헌법 제1조는 종교의 자유, 언론과 출판의 자유를 보장하고 이걸 제한하는 법률을 만들 수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국민의 알 권리'가 여기에서 나왔죠. 하지만 1900년대 초에 이 원칙은 점차 약해지고 있었어요. 특히 1917년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 참가하면서 통과시킨 '간첩 방지법'은 정부를 비판하면 길게는 20년까지 감옥에 가둘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전쟁 중이라 그런 법을 만들긴 했지만 언론과 표현의 자유를 크게 위축시킨다는 지적이 나왔죠.
- ▲ 찰스 솅크가 군 입대 거부를 권유한 인쇄물이에요. /위키피디아
이 사건을 맡은 검사는 나라가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군인 모집을 방해한 건 아주 위험하고 반(反)국가적 행위이며 확실하게 현행법을 어긴 것이라 엄한 벌을 내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솅크 편을 든 변호사는 자기 의견을 밝히는 건 수정 헌법 제1조가 보장하는 언론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에 해당한다고 맞받아쳤습니다. 이 변호사는 개인 의견을 억누르는 건 오히려 국가의 기본 질서를 무너뜨리기 때문에 더 위험하다고 주장했죠. 이 사건은 1919년 1월 우리 대법원에 해당하는 미국 연방대법원에 올라가게 됐습니다.
연방대법원은 만장일치로 솅크에게 유죄를 내렸습니다. 판결문을 쓴 올리버 웬들 홈스 대법관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기준으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의 원칙'을 제시했어요. 풀어서 설명하자면, 사회에 해가 되는 나쁜 일을 일으킬 것이라고 분명하게 예상할 수 있고, 얼마 안 가 그 해악이 진짜 일어난다면 표현의 자유를 막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홈스는 '극장의 화재'라는 비유를 들어 설명했습니다. 표현의 자유는 중요하고 옳은 일이지만 많은 사람이 있는 극장 안에서 갑자기 일어나서 '불이야' 하고 거짓말을 해 극장 안에 있는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는 건 용납할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혼란을 일으키는 거짓말에 초점을 맞춘 나머지 극장 안에서 진짜 불이 났는데 혼란을 일으키면 안 된다는 이유로 '불이야'라고 외치는 것도 막겠다는 거냐는 반발도 나왔습니다.
사실 홈스가 말한 '명백하고 현존하는 위험'이란 건 알고 보면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한다는 뜻입니다. 명백하고 현존하지 않는데 단지 해악을 일으킬지 모른다고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수 없다는 거죠. 물론 그 자유를 지나치게 함부로 누려서는 안 됩니다. 홈스는 "주먹을 휘두르는 건 맘대로 해도 되지만 반드시 상대방 코 앞에서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