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신안 앞바다서 침몰한 원나라 무역선… 2만여점 유물 쏟아졌죠
신안 보물선
◇어부 그물에 걸린 그릇 6점
1975년 우리나라 전남 신안군 증도 앞바다에서 한 어부가 물고기를 잡기 위해 그물을 쳤다가 옛 그릇 6점을 건져 올렸습니다. 중국 화병을 비롯한 청자와 백자였지요. 당시 어부는 그릇들의 가치를 몰라서 그냥 집 마루 밑에 보관해 두었다고 해요. 1976년 1월 그릇의 정체를 심상치 않게 여긴 어부의 동생이 군청에 이 사실을 신고하면서 조사가 시작됐는데, 그릇들은 중국 송~원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유물이라는 게 밝혀졌어요.
- ▲ /그림=김영석
이후 신안 앞바다에는 '보물선'이 가라앉아 있다는 소문이 퍼져 나갔어요. 도굴꾼들이 잠수부를 동원해 바다에서 도자기들을 건져 올리고 사고파는 일이 생겼죠. 그러자 그해 10월 정부에서 '신안해저유물 발굴조사단'을 구성해 본격적인 신안 앞바다 수중 발굴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신안무역선(신안선)'이 세상에 드러나게 됐습니다.
9년 동안 총 11차례에 걸친 발굴 작업에서 도자기 2만점, 동전 28t, 금속 제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습니다. 무려 2만2000여 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이었어요. 인양 물품 대부분은 송·원나라 도자기였고 고려청자도 7점 포함됐죠. 오랜 세월 물살에 쓸리다 보니 배는 심하게 부식된 상태였는데, 발굴단이 7년에 걸쳐 이를 모두 건져 올린 뒤 파편을 맞추었어요. 그랬더니 길이 34m, 폭 11m, 무게 200t 정도로 추정되는 목선으로 드러났답니다.
◇세계적인 수중 유산이 되다
발굴단은 신안선 안에서 당시 배의 출발지와 목적지, 항해 시기 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을 찾아냈는데요. '경원로(慶元路)'라는 글자가 새겨진 청동 추와 '지치 3년 6월 1일(至治三年六月一日)' '동복사(東福寺)'라는 글자가 새겨진 목패였습니다. 목패란 화물의 이름과 내용, 목적지 등을 적은 일종의 '화물표'예요.
'경원로'의 경원은 현재 중국 동부 저장성의 닝보(寧波)를 말해요. '지치(至治) 3년'이란 중국 원나라 제5대 영종 때인 1323년을 말하고, '동복사'는 일본 교토에 있는 사찰 도후쿠사를 말하는 것이죠. 즉, 신안선은 고려 27대 충숙왕 때인 1323년 6월 1일 중국 닝보항을 출발해 일본으로 향하던 원나라 무역선이었는데, 고려에 잠시 들렀다가 풍랑이나 태풍 같은 재해를 만나 표류했고 이윽고 신안 앞바다에 침몰한 것으로 추정돼요.
신안선 발굴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도한 수중 발굴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남달라요. 그래서 문화재청은 신안선을 발굴한 신안 해저유물 매장 해역을 국가 사적 274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답니다. 또 학계에서는 13~14세기 중국 닝보, 취안저우 등 주요 무역항에서 출발해 서쪽으로는 중동과 유럽, 동쪽으로는 고려와 일본까지 이어졌던 '동아시아 해상 교역로'가 존재했음을 알려주는 귀중한 증거로 평가하고 있어요. 그래서 신안선 발굴은 아시아는 물론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중요한 '수중 발굴'로 이름이 높아요.
[중국에서도 발견된 침몰선]
신안선이 발견되기 1년 전인 1974년 중국의 남동부 푸젠성의 취안저우(泉州·천주) 앞바다에서 매우 오래전에 난파한 것으로 보이는 침몰선이 발견되었습니다. 길이가 약 24m에 달하는 나무배였는데 자바, 베트남에서 수입한 백단과 침향, 인도네시아산 후추, 중국 엽전과 진귀한 도자기 등 많은 유물이 쏟아졌지요. 조사 결과, 이 난파선은 1200년대 후반 중국 송나라 때 중국과 인도양을 오가던 무역선이라는 것이 밝혀졌어요. 특히 배의 구조나 형태가 이후 발견된 신안선과 배우 비슷해서 화제가 됐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