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조선 '사역원'에서는 만주·몽골어 등 4개 언어 가르쳤죠

입력 : 2020.02.25 03:09

[통역 교육기관]

고려 말 민간 통역사가 못 미더워 '통문관' 설치해 역관 교육·선발
6품직 이하, 39세까지만 뽑았어요… 조선 때 '사역원'으로 이름 바뀌어
부모와 아내의 4대조 신원 조사 후 시험에 합격해야 입학할 수 있었죠

한국 영화 '기생충'이 미국 아카데미상 수상식에서 작품상 등 4개 부문에서 수상했어요. 영화를 만든 봉준호 감독뿐 아니라, 수상식에서 봉 감독의 통역을 맡은 샤론 최(최성재)에게도 큰 관심이 쏠렸습니다. 봉 감독의 발언을 1초 만에 멋지게 통역하여 순발력이 빛나는 통역사로 평가받았죠. 주변국과의 교류가 잦던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통역의 역할이 중요했어요. 과거엔 어떤 사람이 통역을 맡았고, 그들을 어떻게 교육했을까요?

최초의 공식 통역 기관은 고려에서 등장

외국어교육을 담당한 기관에 대한 첫 기록은 김부식이 쓴 역사서 '삼국사기' 중 '궁예열전'에 등장해요. 후삼국 시대 궁예가 세운 나라인 태봉에서 중앙관청으로 '사대(史臺)'를 마련해 외국어교육을 담당하게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당시 통역사 역할을 했던 '설인(舌人)'들을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지는 않았습니다.

기사 관련 일러스트
/그림=김윤지

통역을 담당하는 공식 관리인 '역관'을 선발하고 통역 사무를 총괄한 공식적인 국가기관은 고려 충렬왕 때 등장해요. '고려사'에 보면 충렬왕 2년(1276)에 '통문관(通文館)'이라는 기구를 새로 설치했다는 기록이 남아있어요. 통문관을 설치한 이유는 설인들의 통역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기 때문인데요, '설인들이 미천한 신분에서 많이 나와서 통역할 때 사실대로 말하지 않고 간사하게 사사로운 일로 전하는 경우가 많아, 참문학자 김구가 건의하여 통문관을 설치하였다'고 해요. 통문관에서는 고려 시대 궁궐 안에 설치했던 여섯 개의 학문 기관인 '금내학관'의 6품 이하 직에 있는 40세 미만자를 선발해 중국어와 몽골어 등을 가르치고 통역 사무를 맡겼습니다.

통문관은 조선 시대 사역원으로 이어져

통문관은 조선 시대엔 '사역원(司譯院)'으로 이름이 바뀌어 1894년 갑오개혁까지 운영됩니다. 사역원은 중국어를 가르치는 한학청, 몽골어를 가르치는 몽학청, 만주어를 가르치는 청학청, 일본어를 가르치는 왜학청을 두어 세분화된 외국어교육을 시행했지요.

외국어 공부를 마친 역관은 사신과 함께 외국에 파견돼 통역 업무를 수행했어요. 조선이 일본에 파견한 외교 사절인 '조선 통신사' 관련 그림을 보면, 말을 탄 역관의 모습을 볼 수 있지요.

사역원에 입학하려면 부모와 아내의 4대조 신원 조사서와 신원 보증서를 제출하고, 심사관 15인이 이를 심사해 일부를 추천했습니다. 추천받은 이들은 다시 입학시험을 봐서 합격해야 입학할 수 있었다고 해요. 이후 잡과 중 역과에 응시해 초시와 복시 모두 합격해야만 역관이 될 수 있었습니다.

◇최초의 영어 교육기관 '육영공원'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영어 교육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조선은 1882년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맺고 이듬해 민영익, 홍영식, 유길준 등을 미국 외교사절단으로 보냅니다. 미국 전역을 둘러보고 온 이들은 고종에게 영어 교육기관 설치를 건의해요. 고종은 이 건의를 받아들여 1886년 우리나라 최초의 영어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을 세우고 관리들이나 양반 자제들을 선발하여 영어를 가르쳤습니다. 미국에서 파견한 원어민 교사를 채용하였고, '교이영문영어(敎以英文英語)' 즉 모든 과목을 영어로 말하고 듣고 쓰는 것을 원칙으로 세워 높은 영어 회화 수준을 이끌었다고 해요.

이 외에도 우리나라에 온 외국인 선교사들이 배재학당과 이화학당 등을 설립하면서 관리나 양반 자제들만 받던 영어 교육이 여성들을 포함한 일반 백성에게까지 확대되었지요.

[첫 공식 영어 통역관 윤치호, 일본 유학 중 영어 배웠대요]

윤치호

우리나라의 첫 공식 영어 통역관은 구한말의 정치가 윤치호(1865~1945·사진)입니다. 그는 1881년 17세 때 조사시찰단 어윤중의 수행원이 돼 일본에 갑니다. 이후 도쿄 도진샤(同人社) 학교에 입학해 영어와 서양 학문을 공부합니다.

1883년 미국의 루셔스 푸트 장군이 초대 주한 미국공사로 임명되자 그의 통역관이 돼 한국에 돌아옵니다. 이후 고종과 미국공사 푸트 사이의 다리 역할을 하게 되지요.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저술가 기획·구성=양승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