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숨어 있는 세계사] 고인물 불결하다 여겨 온탕 없어… 달군 대리석에서 찜질

입력 : 2020.01.01 03:00

[터키 목욕탕 '하맘']
터키, 이슬람 신자 많아 목욕탕 발달… 신 앞에서 몸 깨끗해야 한다고 믿어
17세기 이스탄불에만 151곳 있었죠

우리나라 목욕탕보다 찜질방과 비슷… 달군 대리석에서 몸 지지고 때 밀어
19세기 영국서 인기… 600곳 지어져

터키 남동부 바트만주에서는 '하산케이프(Hasankeyf) 프로젝트'가 한창입니다. 하산케이프는 티그리스 강 인근에 있는 도시로 로마와 오스만제국 유적이 여럿 남아 있는데 댐 건설로 수몰될 예정입니다. 그래서 이곳의 고대 유적을 통째로 안전한 지역으로 옮기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입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국내 한 대기업은 "800여 년 전의 터키 목욕탕 '아르투클루 목욕탕(무게 1500t)'을 안전하게 옮겼다"고 지난 26일 밝혔어요. 터키 역사 속에서 목욕은 어떤 의미였기에 목욕탕이 주요 유적이 된 걸까요?

종교적 이유로 늘어난 터키 목욕탕 '하맘'

터키에서는 공중목욕탕을 '하맘(Hamam·아랍어로 '목욕탕'이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슬람교 발원지인 서아시아에서는 예로부터 목욕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이슬람 신자는 사원에 들어가기 전에 항상 손발과 귓속 등을 깨끗하게 씻었어요. 신 앞에서 몸을 깨끗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기에 목욕 문화도 함께 발달합니다.

프랑스 화가 장 자크 프랑수아 르 바르비에가 그린 터키식 목욕탕 '하맘'(1785).
프랑스 화가 장 자크 프랑수아 르 바르비에가 그린 터키식 목욕탕 '하맘'(1785). 터키인들은 그림 가운데 있는 대리석을 달궈 찜질하며 몸에 땀을 내고 나서 물을 끼얹는 방식으로 목욕했습니다. 우리나라나 로마처럼 대형 욕탕은 없었습니다. 터키인들이 고인 물은 불결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게티이미지코리아
15세기 지금 터키 이스탄불까지 세력권을 넓힌 오스만제국은 도시에 모스크, 도서관, 학교, 병원 등의 시설들을 세울 때 하맘을 모스크 옆에 함께 지었다고 합니다. 1453년 비잔티움 제국을 정복했던 오스만제국 술탄 메메트 2세는 이스탄불에 목욕탕을 19곳 지었다는 기록도 남아 있어요. 17세기 이스탄불에만 하맘이 151군데 있었다는 기록도 있답니다. 특히 술탄 술레이만 1세가 아내 록산느를 위해 16세기 건축한 '아야 소피아 휘렘 술탄 하맘'은 지금까지 남아 영업을 하고 있지요. 한때 모스크였던 아야 소피아 옆에 지었습니다.

유럽과 서아시아, 북아프리카에서도 하맘 유적을 찾을 수 있어요. 그리스의 테살로니키에는 15세기 지은 하맘이 남아 있고, 이집트 카이로에도 하맘이 한때 최대 300곳까지 있었다고 해요.

'목욕탕'보다는 '찜질방'에 가까워

그런데 하맘은 우리 상식 속 목욕탕과는 생김새가 조금 다릅니다. 목욕탕의 핵심인 대형 욕조에 뜨거운 물이 담겨 있는 온탕이 없기 때문이죠. '페슈테말'이라는 속옷 역할을 하는 수건을 두르고 하맘에 들어서면 둥근 대리석 판이 있는 공간이 나옵니다. 목욕탕 가장자리 개인 세면대에서 샤워를 하고 나면 이 공간에 모이게 됩니다. 욕탕이 있을 자리에 돌판이 있는 것이죠. 달궈진 대리석 위에서 몸을 지지고, 땀을 낸 다음, 때밀이와 마사지를 받고, 몸에 따뜻한 물을 끼얹습니다. 오히려 우리 찜질방과 더 닮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찜질방에서 땀을 내고 때를 민 다음, 욕탕에는 안 들어가고 샤워만 하고 나오는 식이죠.

이는 터키인이 고여 있는 물은 청결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온천물이 콸콸 쏟아져 나오는 지역이 아니면 터키식 목욕탕에는 욕조가 없었습니다.

하맘은 터키인들이 친구를 만나고 정치적 의견을 나누는 사교장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외출이 자유롭지 못했던 이슬람 문화권 여성들이 모여 이야기꽃을 피우는 곳이었죠. 결혼을 앞둔 신부는 결혼 전 '신부의 목욕(겔린 하맘)'이라는 행사도 열었어요. 하맘에서 마을 여인들에게 음식을 대접하고 목욕도 하며 결혼 생활의 비법을 전해 들었다고 합니다.

19세기 영국에도 소개되며 인기

목욕 문화는 로마제국이 유럽 전역으로 퍼트립니다. 그런데 서유럽의 목욕 문화는 중세를 거치며 쇠퇴합니다. 중세 기독교인들은 목욕하고 단장하는 행동이 누군가를 유혹하기 위한 나쁜 행동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게다가 14세기 유럽에 흑사병이 창궐하면서 당시 유럽 의학계는 "뜨거운 열과 물이 피부에 입구를 열어 역병이 쉽게 침투하게 한다"고 잘못 진단합니다. 세균과 바이러스가 발견되기 이전이고 청결이 얼마나 중요한지 몰랐던 시대라 벌어진 일이죠. 서유럽에서 대중목욕은 19세기까지 거의 자취를 감춥니다.

유럽에선 19세기 들어 대중목욕 문화가 다시 생겨나는데요, 이 시기 터키의 하맘이 영국에 상륙합니다. 터키에서 활동했던 영국의 외교관 데이비드 우르쿠하르트가 1850년 여행기 '헤라클레스의 기둥'에서 하맘을 소개하면서부터인데요. 영국 빅토리아 시대(1847~1901)에 터키풍 목욕탕은 선풍적 인기를 끌며 한때 600곳 이상이 영국에서 문을 엽니다. 구조는 하맘과 비슷하지만, 찬물에 몸을 풍덩 담그는 냉탕이 있었다고 해요.



윤서원 서울 성남고 역사 교사 기획·구성=양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