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아하! 이 음식] 우유 끓여 만든 조선 궁중 보양식… 왕이 신하에게 선물로 하사하기도
입력 : 2019.07.10 03:00
타락죽
이번 주 금요일(12일)은 초복(初伏)입니다. 복날을 맞아 많은 분이 삼계탕이나 장어, 낙지, 소고기, 민어 등 보양식을 챙겨 드시겠지요. 이처럼 한민족은 여름 무더위를 무탈하게 넘기도록 보양식을 먹습니다. 약식동원(藥食同源), 즉 음식이 곧 약이라는 생각을 가졌던 우리 선조들은 복날뿐 아니라 평소에도 보양식을 챙겨 먹었습니다.
- ▲ /게티이미지뱅크
한반도에서 언제부터 우유를 먹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고려사(高麗史)'를 보면 젖소에서 우유를 짰다는 기록이 나오는 걸로 미루어 늦어도 고려시대부터 먹었다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나라에서 유우소(乳牛所)라는 상설기관을 설치해 운영했습니다. 유우소는 조선시대까지 계속됐습니다.
고려사에는 유우소에서 낙수(酪�T)를 만들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낙수는 우유를 끓여서 굳힌 것으로, 크림과 치즈 중간쯤 되는 말랑한 형태의 유제품으로 추정됩니다. 낙수를 넣고 쑨 낙죽(酪粥)도 타락죽과 함께 건강에 좋은 음식으로 꼽혔습니다.
복날이면 고단백 식품을 찾는 문화는 조선시대에도 이미 자리 잡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도문대작' '증보산림경제' 등 조선시대 문헌을 살펴보면 소·돼지·멧돼지·닭·꿩·토끼·양·염소·개·오리·매·노루·사슴·표범 등 다양한 보양식이 나옵니다. 모두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죠. 최초의 한글 조리서 '음식디미방'에는 별탕(鼈湯) 즉 자라탕이 소개됐습니다. 자라를 삶아 그 살을 찢어 오미자초·생강·천초·소금·후추에 무쳤다가 맑은장국에 끓입니다.
족탕도 보양식으로 먹었어요. 우족(牛足)을 무르게 고아 식혀 강정 크기로 썬 보양식입니다. 꿩고기 국물에 표고·무를 썰어 넣고 밀가루를 풀어 걸쭉하게 만든 국물에 넣어 먹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