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식물이야기] 잎 위의 미세돌기가 물 튕겨내… '연잎효과' 이용해 방수 옷 개발

입력 : 2019.06.28 03:00

연꽃

더러운 곳에 있어도 항상 깨끗하다는 말인 처염상정(處染常淨). 바로 연꽃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연꽃이 연못과 같이 축축하고 흙탕물이 튀는 곳을 좋아하면서도 꽃잎에는 먼지 하나도 붙어 있지 않을 정도로 깨끗하고, 1~2m로 긴 줄기를 내 향기롭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내기 때문이죠.

연꽃은 인도 등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오랜 기간 사랑받아왔답니다. 고구려 고분 벽화나, 고려청자와 같이 중요한 문화재에서 연꽃 문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연꽃
/함안군
연꽃을 이집트 원산인 수련과 헷갈리는 사람도 있어요. 구별법은 간단합니다. 연꽃은 잎과 꽃이 모두 물 위로 튀어나와 있지만, 수련은 잎과 꽃이 모두 수면에 바짝 붙어서 나오죠.

연꽃은 물 아래 진흙이나 논바닥과 같은 곳에 한번 뿌리를 내리면 옆으로 옆으로 굵게 뿌리를 뻗어내 무리를 이뤄요. 그 때문에 연꽃 련(蓮) 자도 풀 초(艸) 자와 이을 련(連) 자를 합친 글자로 '이어진 풀'이라는 뜻을 가졌지요. 이 뿌리가 간장에 조려 반찬으로 먹는 '연근'이랍니다.

연꽃은 이른 여름 뜨거운 햇살 하나 들어갈 틈 없이 빽빽하게, 널따란 잎들이 피어나요. 그 뒤 6월 말이 되면 분홍색이나 흰색을 띠는 꽃을 활짝 피우죠. 어른 주먹보다 훨씬 큰 꽃이 무겁지도 않은지 연꽃은 하늘을 향해 꼿꼿이 꽃대를 올리고 화려한 고개를 들어올린답니다. 특히 고려시대 많이 키웠던 연꽃으로 추정되는 '아라홍련'<사진>과 같은 연꽃은 꽃 아래쪽은 희고 꽃 끝은 붉어 신비로운 느낌을 준답니다.

연꽃이 깨끗하고 고결함의 상징이 된 것은 연잎이 물을 밀어내는 '연잎 효과' 때문일 거예요. '초발수 효과'라고도 하죠. 이른 아침 연잎에 맺힌 이슬을 관찰해 보세요. 잎 표면에 흡수되지 않고 물방울이 서로 뭉치고 돌아다니다 이내 낮은 곳으로 떨어져 버리곤 해요.

이처럼 연잎이 물에 젖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연잎 표면의 미세돌기 때문입니다. 현미경으로 잎 표면을 자세히 보면 아주 미세한 돌기들을 볼 수 있는데요. 이 돌기는 크기가 3~10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에 불과해 맨눈으로 보면 오히려 매끈한 표면을 이룬 것처럼 보인답니다. 이런 미세돌기는 연잎 표면에 물이 닿는 면적을 작게 만들려는 성질이 있어요. 그래서 물이 퍼지지 않고 동글동글 맺히게 되지요. 또 미세돌기의 표면에는 일종의 코팅이 돼 있어 물을 밀어낸답니다.

과학자들은 이런 연잎 효과를 이용해 방수 섬유, 비가 와도 젖지 않는 우산 등을 개발했어요. 미세돌기 구조를 이용해 미세돌기를 붙여 꿀이 뭉쳐 잘 떨어지는 숟가락을 만들거나 물과 오염을 툭툭 털어낼 수 있는 옷 등을 개발했지요. 나아가 물에 닿아도 고장나지 않는 컴퓨터 메모리를 개발하기도 했답니다.



최새미 식물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