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미륵사 지은 무왕 왕비는 선화공주 아닌 백제 귀족?
입력 : 2019.04.02 03:00
[백제 미륵사지 석탑]
석탑 해체하니 '백제 출신 왕비'가 무왕에 미륵사 건축 청했단 기록 나와
무왕이 신라 선화공주와 결혼했단 삼국유사 내용이 허구일 수 있어요
지난달 23일 전북 익산 미륵사지에 있는 미륵사지 석탑이 21년에 걸친 보수 공사를 마치고 일반인에게 공개됐어요. 7세기에 만들어진 미륵사지 석탑은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석탑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큽니다. 미륵사지에는 원래 탑 3개가 있었는데, 서탑 외에는 모두 부서졌어요. 서탑은 본래 9층으로 높이가 20m에 달했다고 추정되는데, 원래 모습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황이라 6층(약 14.5m)까지만 복원했어요. 동쪽에 있던 동탑은 사라지고 없는데, 1992년에 서탑 모양을 본떠 9층 높이로 세웠지만 부실 복원이라는 지적이 그치지 않았어요.
그런데 석탑을 해체해 보수하는 과정에서 미스터리가 하나 생깁니다. 석탑 안에서 깜짝 놀랄 유물이 발견된 거예요. '삼국유사'에 백제 30대 무왕(580~641년)이 신라 선화공주와 사랑에 빠져 결혼한 뒤 왕비를 위해 미륵사를 세웠다는 설화가 실려 있는데, 그 얘기가 허구일 수 있다는 거예요.
◇백제 왕자와 신라 공주의 러브 스토리
삼국유사에 실린 무왕 얘기는 두 가지예요. 우선 그의 러브스토리입니다. 무왕은 왕족이지만 가난하게 자랐어요. 산에서 마를 캐며 살았기 때문에, 서동(薯童)이라 불렸죠. 서동은 '마[薯]를 파는 소년'을 뜻해요.
그런데 석탑을 해체해 보수하는 과정에서 미스터리가 하나 생깁니다. 석탑 안에서 깜짝 놀랄 유물이 발견된 거예요. '삼국유사'에 백제 30대 무왕(580~641년)이 신라 선화공주와 사랑에 빠져 결혼한 뒤 왕비를 위해 미륵사를 세웠다는 설화가 실려 있는데, 그 얘기가 허구일 수 있다는 거예요.
◇백제 왕자와 신라 공주의 러브 스토리
삼국유사에 실린 무왕 얘기는 두 가지예요. 우선 그의 러브스토리입니다. 무왕은 왕족이지만 가난하게 자랐어요. 산에서 마를 캐며 살았기 때문에, 서동(薯童)이라 불렸죠. 서동은 '마[薯]를 파는 소년'을 뜻해요.
- ▲ /그림=안병현
삼국유사에 전하는 또 다른 이야기는, 그가 미륵사를 지었다는 내용입니다. 무왕은 왕비와 함께 자신이 왕이 되기 전 큰 도움을 준 스님을 만나러 가다가 익산 용화산 아래 큰 연못에서 미륵삼존(미륵불과 미륵불을 옆에서 모시는 두 보살)을 만납니다. 왕비는 무왕에게 "이곳에 큰 절을 세웠으면 좋겠다"고 청하지요.
무왕은 왕비를 위해 연못을 메우고 미륵사를 지었어요. 백제의 장인들이 솜씨를 발휘해 미륵불상, 전각, 탑을 세웠지요. 신라 진평왕도 여러 장인을 보내 도왔다고 해요.
◇"639년 백제 귀족 딸이 지어달라고…"
그런데 잠깐, 애매한 대목이 하나 있습니다. 무왕과 사랑에 빠진 신라 공주와 미륵사를 지어달라고 청한 왕비, 이 두 사람이 동일 인물일까요?
무왕이 선화공주와 결혼했다는 이야기에 이어, 무왕이 왕비를 위해 미륵사를 지었다는 이야기가 나오니 당연히 이 왕비는 선화공주일 거라고 다들 생각했지요. 그런데 반전이 일어납니다.
2009년 1월 14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미륵사지 서쪽 석탑을 해체하다가 미륵사를 세운 경위를 새긴 기록물을 발견했어요. "좌평(백제 최고 관직) 사택적덕 (沙宅積德)의 딸인 왕후가 왕에게 부탁해 639년 미륵사를 지었다"고 적혀 있었죠.
이 기록이 나온 뒤, 서동과 선화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허구라는 주장이 힘을 얻었어요. 무왕보다 100여 년 전에, 백제 24대 동성왕(?~501년)이 신라 왕족과 결혼했는데 그걸 바탕으로 생긴 설화라는 주장이지요.
하지만 여전히 무왕과 선화공주의 사랑이 역사적 사실이라고 보는 학자도 많아요. 무왕이 59세 되던 639년에 미륵사를 세웁니다. 사랑에 빠진 건 아마 그보다 수십 년 전 젊은 날이었을 테지요. 그렇다면 선화공주가 무왕과 결혼했지만 일찍 세상을 떠났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무왕이 미륵사를 세울 땐 이미 백제 유력자의 딸과 재혼한 상태였기 때문에 석탑에서 새 왕비의 이름만 나왔을 거라는 추측이지요. 진실은 어느 쪽일까요?
[세 개의 절이 합쳐진 듯한 미륵사의 독특한 건축 양식]
백제는 주로 불상이나 보살상을 모신 금당 하나에 탑 하나를 두는 '1탑 1금당' 형태로 사찰을 지었어요. 부여 군수리사지와 정림사지 등이 이런 양식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익산 미륵사지 유적은 탑과 금당이 각각 3개씩 있는 '3탑 3금당' 형태입니다. 학자들은 독립된 구역을 3개 만들어 마치 '1탑 1금당' 형식의 절을 3개 짓듯이 지었다고 보고 있어요.
미륵사를 이렇게 지은 데에는 미륵불이 세상에 내려와 세 번의 법회를 열어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신앙이 깔려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