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나해란의 뇌과학 교실] 우리가 '멍 때리고' 있을 때도 뇌는 열심히 일한대요
입력 : 2018.12.12 03:00
뇌의 쉬는 시간
'이번 크리스마스에는 부모님이 어떤 선물을 사 주실까' 하고 신나는 생각을 하는 계절이 됐습니다. 좋아하는 친구를 마주쳤던 기억을 떠올리거나, 멋진 어른이 된 자신을 상상하는 것은 흔히 보내는 즐거운 시간이죠. 특히 시험 때가 되면 책을 보다가도 이런저런 공상을 하면서 머리를 식히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아집니다.
- ▲ 지난 4월 멍하니 앉아 있는‘멍 때리기’대회에 참가한 사람들. 그런데 가만히 있어도 뇌는 쉬지 않고 일한대요. /고운호 기자
이런 주장이 처음 나온 것은 1929년이었어요. 과학자 한스 베르거(Hans Berger)는 뇌가 한시도 쉬지 않고 일하고 있다는 뇌파 사진을 처음으로 발표했어요. 그렇지만 당시에 아무도 믿어주지 않았다고 해요. 그 시절의 과학자들은 공부를 하거나 열심히 생각하지 않으면 뇌 활동이 없거나 줄어든다고 여겼어요.
이후 연구자들은 쥐를 연구하면서 1970년, 쉬고 있는 쥐의 전두엽이 더 활발하게 활동한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뇌가 언제든 일한다는 학설은 2000년대 들어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됐어요.
연구자들은 멍하니 있을 때에도 수학 문제를 푸는 것 이상으로 뇌가 더 활발하게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답니다. 뇌는 잠들 때에도 똑같이 일을 합니다. 심지어 꿈을 격렬하게 꾸면 공부할 때보다 더 활성화된다고 해요.
'멍 때리는' 상태는 깨어 있으면서 특별히 해야 할 일이 없거나, 좋아하는 생각에 빠져 있는 상태랍니다.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까' 상상하거나 할 때도 같은 상태라고 해요. 우리가 의식적으로 외부 자극에 집중하는 노력을 하지 않는 때지요. 통상 그때 뇌가 쉬고 있다고 오해하지만 주어진 일을 해결하지 않을 때에도 뇌는 계속 일을 합니다.
그럼에도 왜 우리는 쉬면서 '머리를 식힌다'고 생각할까요? 머리를 식힐 때 우리는 외부 자극에 대한 처리를 하지 않아요. 문제를 풀거나 해야 할 일이 없는 상태로 있으면 의식적으로 외부 자극에 집중을 하고 해결하는 노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스스로 느끼기에는 뇌가 쉬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거예요.
'멍 때린다'는 걸 게으르다고 핀잔 주거나 놀릴 필요가 없습니다. 뇌는 공부하는 것처럼 무척 열심히 일하고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