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경제 이야기] 식량 확보·농가 안정 위해 쌀 사들여… 삼국시대에도 비슷한 정책 있었죠
입력 : 2018.10.23 03:00
추곡 수매(收買)
한국인의 주식 쌀 소비량이 40년 만에 절반으로 줄었대요. 매년 3% 가까이 소비량이 줄고 있다네요. 최근 김병원 농협협동조합중앙회 회장은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농민으로부터 쌀을 사들일 때 목표 가격을 80㎏ 가마당 20만원 이상으로 책정해야 생산 농가가 쌀값을 제대로 보상받을 수 있다고 호소했어요. 커피 한 잔도 3000원인데 밥 한 공기 가격이 300원은 돼야 마땅하다는 거지요.
쌀 수매(收買)란 정부 또는 공공 단체가 쌀값을 안정시키고 수요·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농민들에게서 미리 정해 놓은 가격으로 일정량의 쌀을 사들이는 거예요. 쌀은 가을에 추수한 벼 씨앗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골을 말하죠. 가을에는 쌀뿐 아니라 보리·콩·조·옥수수·메밀 등 대부분 양곡을 거둬들이는데, 이를 추곡(秋穀)이라고 해요. 그래서 쌀 수매는 넓은 뜻으로 추곡 수매라고도 하지요.
쌀 수매(收買)란 정부 또는 공공 단체가 쌀값을 안정시키고 수요·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농민들에게서 미리 정해 놓은 가격으로 일정량의 쌀을 사들이는 거예요. 쌀은 가을에 추수한 벼 씨앗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골을 말하죠. 가을에는 쌀뿐 아니라 보리·콩·조·옥수수·메밀 등 대부분 양곡을 거둬들이는데, 이를 추곡(秋穀)이라고 해요. 그래서 쌀 수매는 넓은 뜻으로 추곡 수매라고도 하지요.
- ▲ 전남 한 농협 창고에 수매한 추곡(秋穀)이 가득 차 있어요. /김영근 기자
추곡 수매 같은 정책은 오래전부터 있었어요. 삼국시대에는 농가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곡식이 모자라는 춘궁기에 농민들에게 양곡을 빌려주었다가 가을에 거둬들이는 환곡 제도가 있었어요. 조선시대에도 군량미를 조달하거나, 흉년에 대비하기 위해, 또 수요·공급을 조절하고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양곡 관리 정책을 펼쳤고요. 지금의 추곡 수매와 비슷한 목적을 갖췄던 거죠.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가 일본에 쌀을 반출하려고 우리 농민이 자유롭게 쌀 거래를 못 하게 했어요. 헐값으로 쌀을 공출하도록 하면서 배급제를 도입해 쌀 소비를 막았답니다. 광복 직후엔 쌀값이 폭등해 미 군정청이 추곡을 수매하기도 했대요.
정부 수립 이후엔 '양곡관리법'을 통해 민간이 수매하는 걸 부분적으로 인정해줬어요. 시장 거래가 살아난 거예요. 그러나 6·25전쟁 중엔 농지가 폐허가 되면서 부족해진 곡식을 방대한 원조 물량으로 충당했답니다. 그 결과 쌀 가격이 폭락했죠. 우리나라는 197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수확을 많이 할 수 있는 벼 품종을 보급하고 이중곡가 제도를 도입해 쌀 자급을 할 수 있었어요. 이중곡가 제도란 정부가 농가에서 높은 가격으로 쌀을 사들인 후 소비자에겐 낮은 가격으로 되파는 제도예요. 이 제도는 농가 소득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됐지만, 대규모 재정 적자를 일으켰어요. 농업 구조도 쌀 농사 중심으로 왜곡됐죠.
그래서 정부는 생산 농가가 직접 쌀을 팔 때 가격이 정부 수매 목표 가격보다 낮을 경우 그 차액을 보전해주기로 했답니다. 시장에서 자유로운 유통을 보장하되 정부는 대비용으로 양곡을 쌓아두고, 쌓아둔 양곡으로 가격 급등락을 조정하는 거예요. 이처럼 추곡 수매는 농가에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 농가를 살리려면 우리부터 쌀 소비를 늘리도록 노력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