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스포츠 이야기] 엎드려 타는 썰매… 갈비뼈 닮은 구조물 있어 스켈레톤(해골)이죠

입력 : 2018.02.06 03:05

스켈레톤

스켈레톤의 윤성빈 선수가 트랙에서 출발하는 모습.
스켈레톤의 윤성빈 선수가 트랙에서 출발하는 모습. /AP 연합뉴스
우리나라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사상 처음으로 '썰매 메달'을 기대하고 있어요. 한국 썰매의 간판이자 '스켈레톤' 세계 랭킹 1위인 윤성빈(24) 선수가 평창에 출전하기 때문이지요.

스켈레톤은 북아메리카 인디언들이 겨울에 짐을 운반하기 위해 이용하던 썰매에서 유래한 종목이에요. 이 썰매가 나중에 유럽으로 전파됐고, 스위스 일대에서 썰매 코스를 건설하면서 스포츠로 발전했어요. 1884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처음으로 스켈레톤 경기가 열린 뒤 본격적인 스포츠 종목으로 자리 잡게 됐지요.

동계올림픽 썰매 종목은 봅슬레이와 루지, 스켈레톤 등 세 가지인데요. 세 종목 모두 산 위에서 내려가는 얼음 트랙을 130㎞ 이상의 빠른 속도로 달려간다는 점에선 비슷하지요. 스켈레톤은 선수 한 명이 썰매 위에 엎드린 채 얼음 트랙을 빠른 속도로 활주하는 종목이고, 봅슬레이는 선수 2명 또는 4명이 썰매를 함께 타고 내려오는 종목이에요. 루지는 선수 한 명이 하늘을 보고 썰매 위에 똑바로 누워서 활주하는 종목이지요. 스켈레톤과 루지는 썰매에 따로 브레이크나 조종 장치가 없기 때문에 선수가 스스로 무게중심 등을 움직여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지만, 봅슬레이는 방향을 조정하는 브레이크 등 장치가 달려 있답니다.

초창기 스켈레톤은 나무 썰매가 대부분이었어요. 하지만 1892년 강철로 만든 썰매가 처음 나오면서 속도가 매우 빨라졌지요. 현대의 스켈레톤은 세로 1m, 가로 80㎝ 정도의 작은 썰매에 선수가 엎드린 채 1200여m의 얼음 트랙을 시속 120~140㎞로 질주하는 것이에요. 선수는 썰매의 양쪽 손잡이를 붙잡고 40~50m 정도를 달려 속도를 높인 후 썰매로 올라타 트랙을 내려가요. 오직 어깨와 머리, 다리 등으로 무게중심을 옮기며 활주해야 하기 때문에 선수 스스로 몸을 통제하는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어요.

짜릿한 속도를 맛볼 수 있는 경기로 꼽히기도 하지만, 그만큼 위험성이 커서 턱 보호대가 부착된 헬멧, 팔꿈치 보호대를 반드시 착용해야 해요. 보통 남자 경기는 썰매·선수의 무게를 합쳐 115㎏을 넘을 수 없고, 여자 경기는 썰매·선수의 무게를 합쳐 92㎏을 넘길 수 없지요. 무게가 부족하면 썰매에 납을 붙여서 최대치를 맞출 수 있다고 해요. 올림픽에선 이틀에 걸쳐 두 차례씩 경주를 벌여 4차례 기록을 합산한 점수로 순위를 결정한답니다.

그렇다면 스켈레톤은 왜 '뼈대' '해골'이라는 뜻을 가진 이름이 붙었을까요? 스켈레톤 썰매를 보면 탑승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하게 몸을 잡아주는 구조물이 붙어있는데, 이것이 마치 사람의 갈비뼈를 닮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져요.



조보성·무학중 체육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