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뉴스 속의 한국사] 김씨 성만 1069만명… 성씨는 언제부터 전해졌을까

입력 : 2016.10.03 05:06

[성씨의 유래]

귀족, 삼국시대에 성씨 정해 사용… 평민, 조선 후기 족보 사 성씨 가져
1909년 새 호적 제도 '민적법' 시행, 신분 관계없이 모두 성씨 갖게 돼
현재 총 5582개 성씨 있어요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총 5582개의 성씨가 있다고 해요. '김(金)'씨 성을 가진 사람이 1069만명(전체 인구의 21.5%)으로 가장 많았고, '이(李)'씨 성과 '박(朴)'씨 성을 가진 사람이 각각 14.7%(731만명)와 8.4%(419만명)로 그 뒤를 이었다고 합니다. 세 성씨를 포함해 '최(崔)'씨 233만명, '정(鄭)'씨 215만명 등 10대 성씨를 가진 사람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63.9%를 차지하고 있어요.

성씨는 사람의 혈족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이름 앞에 붙이는 칭호를 뜻해요. 핏줄이 같은 사람들은 같은 성씨를 갖는 것이죠. 역사를 보면 성씨는 원래 어머니의 핏줄을 뜻했던 '姓(성)'이라는 말과 자신의 조상이나 출신 지역을 뜻했던 '氏(씨)'가 합쳐진 말이에요.

◇한반도에 성씨가 처음 생긴 때는?

성씨가 처음 만들어진 곳은 중국으로 추정됩니다. 중국에서 처음 성을 쓴 사람은 중국 역사의 기원을 담은 신화에 등장하는 신농씨예요. 신농씨는 '강(姜)'을 자신의 성으로 삼았는데, 자신의 어머니가 사는 강수(姜水)라는 곳의 지명에서 성을 따왔어요. 신농씨와 더불어 중국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황제'란 인물은 그의 어머니가 희수(姬水)라는 곳에 살았기에 '희(姬)'라는 성을 가졌고요. 성(姓)이라는 한자에 여자 여(女) 자가 들어가 있는 것도 이렇게 성이 어머니의 핏줄을 뜻하는 것이었기 때문이죠.

반면 씨(氏)는 남성들이 아버지의 핏줄을 나타내기 위해 자신들이 새로 정착해 살게 된 지명이나 가까운 조상의 이름에서 따온 것입니다. 고대 중국이 농사를 짓고 정착해 살아가는 농경사회로 변하면서 남성의 역할이 점점 커지게 되자 아버지의 핏줄을 뜻하는 '씨'가 등장한 것이죠. 이후 성은 주로 혈통을, 씨는 출신 지역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다 점차 성과 씨를 구분하지 않고 '성씨'로 합쳐 쓰기 시작한 거예요.

우리 민족이 성씨를 갖게 된 것은 언제일까요? 삼국시대의 역사를 다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기원전 69년 신라를 세운 혁거세가 박처럼 생긴 둥근 알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박씨 성을 갖게 되었다고 말하고, 유리왕이 초기 신라를 이루던 6개 촌의 촌장들에게 각각 이(李), 정(鄭), 최(崔), 손(孫), 배(裵), 설(薛)이라는 성을 내려주었다고 나와있어요. 고구려를 세운 동명성왕의 성은 고(高)씨고 이름이 주몽이라는 이야기와 백제 왕족의 성씨가 부여(扶餘)라는 이야기도 등장하고요.

하지만 사실 삼국시대 초기에는 성씨가 없었다는 게 역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예요. 삼국시대에 성씨와 한자식 이름을 사용한 것은 고구려 장수왕, 백제 근초고왕, 신라는 진흥왕 때부터로 추정된답니다. 이때부터 각자의 성씨를 정한 왕족과 귀족이 생겨났고, 고려 때 쓰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삼국시대 왕족 계보를 바탕으로 삼국시대 초기 인물들에게 한자식 성과 이름을 붙여준 것이지요.

◇왕건의 토성분정과 조선 후기의 족보 매매

우리나라에 성씨가 늘어나게 된 중요한 계기는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이 토성분정(土姓分定)이라는 정책을 시행한 것과 조선 후기에 족보 매매가 늘어난 것이었어요. 지방 세력의 도움을 받아 고려를 세우고 왕이 된 왕건은 성씨가 없던 지방 세력가들에게 각자 다스릴 땅을 정해주고 성씨를 내려주었는데, 이것이 바로 토성분정 정책입니다.

기사 관련 일러스트
그림=이병익

역사학자들은 이때부터 성씨의 출신 지역을 뜻하는 '본관'이 쓰이기 시작했다고 말해요. 가령 안동 권(權)씨는 안동에 세력을 차지한 권씨 사람을 뜻하는 것이죠. 역사 기록에 따르면 왕건은 당시 복주 지역을 지키던 김행이라는 세력가에게 권씨라는 성을 내려주고, 복주 지역의 이름을 안동으로 정했다고 합니다.

왕건이 성씨를 내려주었지만 조선 중기 전까지 한반도에 사는 사람 중 성씨가 없는 사람은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했어요. 대대로 천민은 성씨를 가질 수 없었고, 평민 중에도 성씨가 없는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죠.

성씨를 가진 사람이 더 늘어나게 된 건 조선 후기에 천민이나 평민들이 양반 행세를 하기 위해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양반들로부터 족보를 사들이는 일이 늘어났기 때문이에요. 사들인 족보를 위조해 스스로의 핏줄을 양반으로 만들고, 동시에 그 성씨를 따르게 된 것이죠.

지금처럼 신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성씨를 갖게 된 때는 조선 말기인 1909년 인구 수를 조사하고 신분을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호적 제도(민적법)가 시행된 이후부터라고 합니다.

☞왕건의 토성분정(土姓分定) 정책이란?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지방 세력을 왕의 세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했어요. 왕의 세력을 키우지 않으면 당시에 힘이 강했던 지방 세력들이 반란을 일으킬 수 있었기 때문이었지요.

그래서 왕건은 지방 세력가들에게 다스릴 땅(土)과 성씨(姓)를 나누어(分) 정해(定) 이들의 마음을 사려고 했는데, 이것이 바로 토성분정 정책입니다. 지방 세력가들의 부와 권력을 인정해주어 고려 왕실에 충성을 다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죠.

비슷한 맥락으로 왕건은 자신의 성씨인 ‘왕(王)’씨를 지방 세력가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답니다. 성씨를 내려 지방 세력가들을 왕실의 친척으로 만들어 버린 것이죠.

또 왕건은 생전에 무려 부인 29명과 자식 34명을 두었는데, 이 역시 지방 세력가의 딸들을 부인으로 맞았기 때문이에요. 결혼을 통해 지방 세력가들과 친척 관계를 맺어 왕권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었어요.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