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재미있는 과학] '심봉사' 눈 뜨듯, 줄기세포로 눈 뜰 수도 있대요
한·미 연구진이 개발한 치료제로 실명 위기 환자 시력 향상 보여
면역 거부 반응 적은 '줄기세포'
세포 분화해 고장난 기능 되찾아줘… 아직은 걸음마 단계 노력 이어가야
'몸이 1000냥이라면 눈은 900냥이다'라는 말이 있어요. 우리 몸의 어느 한 부분이라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지만, 눈은 그중 으뜸이죠. 당장 눈가리개를 하고 단 몇 분이라도 활동을 해 보면 앞을 볼 수 없는 것이 얼마나 불편하고 힘든 일인지 알 수 있어요. 무엇보다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없는 아픔이 클 거예요. 그래서 심청전의 마지막 장면이 그토록 감동적인지도 몰라요.
그런데 심청전의 감동이 현실에서도 재현될 가능성이 생겼어요. 최근 한·미 공동 연구진이 개발한 치료제가 국내에서 실명 위기의 환자를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는 기사가 전해졌어요. 700~800년 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안경이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한번 손상된 시력을 회복하는 것은 어려워요. 그런데 이번에 치료를 받은 환자는 4명 중 3명이 뚜렷한 시력 향상을 보였고 무엇보다 1년 넘게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해요. 이런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줄기세포' 기술이 있었기 때문이에요.
- ▲ 그림=정서용
신체 각 부분은 그 역할이 다르고 생김새와 조직을 구성하는 성분도 다르기 때문에 그 치료법 또한 다양할 수밖에 없어요. 그런데 줄기세포 치료법은 모든 신체적 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요. 그것은 줄기세포가 가진 신비한 능력 때문이죠. 고장 난 부품은 아무리 닦고, 수리를 하더라도 새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만큼 좋은 효과를 볼 수는 없듯이 질병, 장애를 치료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 또한 손상된 신체를 건강한 신체로 바꾸는 것이라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신체를 기증받는 것이나 기계 장치로 대체하는 방법이 꾸준히 연구됐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기계는 정교한 인체를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에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신체가 필요한 환자들에 비해 기증되는 신체 또한 너무나 부족하기에 이런 치료 방법은 아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요. 가장 큰 문제는 신체를 기증받았다 하더라도 나타나는 '면역 거부 반응'이라 할 수 있어요.
면역 거부 반응이란 인체에 자신의 조직과는 다른 타인의 신체 또는 이물질이 들어올 경우, 이를 찾아내 공격하는 인체의 자기 방어 능력이에요.
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특별한 치료 없이 나을 수 있는 것은 인체의 면역 체계가 감기 바이러스를 공격해 물리치기 때문이죠. 만약 인체의 면역 체계가 무너진다면 평소 우리에게 아무런 해를 주지 못하는 곰팡이도 치명적일 수 있어요. 그래서 면역 결핍증에 걸린 환자는 감기 같은 가벼운 증상으로도 사망할 수 있죠. 문제는 이렇게 고마운 면역 체계가 치료를 위해 이식된 신체까지도 적으로 판단하고 공격한다는 점이에요.
- ▲ 당뇨병 환자의 피부 세포로 만든 복제 배아줄기세포(보라색 부분)예요. /뉴욕 줄기세포재단 제공
그런 점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는 거의 완벽한 치료 방법이라고 할 수 있어요. 잃어버린 신체를 그 모습 그대로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죠. 어떻게 그것이 가능할까요? 줄기세포란 그 어떤 세포로도 변해 성장, 즉 '분화'할 수 있는 세포를 의미해요. 앞서 설명했듯이 우리 몸은 매우 정교해요. 그런데 알고 보면 이런 우리의 몸도 처음에는 하나의 세포에서 시작했죠.
정자와 난자가 합해져 수정란이라는 하나의 세포가 되면 수정란은 점점 분열하고 성장하며 우리 몸을 만드는 거예요. 이 과정 초기에는 '줄기세포'가 만들어지는 단계가 있는데, 이 줄기세포는 DNA 속 유전 정보를 받아 인체의 다양한 조직과 기관을 만드는 세포로 분화해요. 이런 줄기세포를 인위적으로 조작해 원하는 신체 조직으로 분화시킬 수 있다면 기증된 장기의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지요. 또한 난자의 핵(유전 정보가 들어 있는 세포 기관)을 제거하고 환자의 체세포 속 유전자를 주입해 줄기세포를 만들면 그로부터 분화된 신체는 환자의 신체와 유전적으로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므로 면역 거부 반응 없이 장기 이식이 가능해요.
이번에 성공한 실명 치료는 사람의 수정란에서 추출한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해 수백만 개로 늘린 후, 망막색소상피세포로 자라게 한 다음 눈에 이식했다고 해요. 이 실험적 치료의 성공은 '장애가 없는 세상' '불치병이 사라진 세상'을 현실로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기념비적인 소식이죠.
줄기세포 기술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다고 해요. 하지만 걸음마를 하는 아기가 얼마 지나지 않아 걷고 뛸 수 있게 되는 것처럼 우리의 생각과 노력이 멈추지 않는 한 머지않아 모든 장애를 극복하는 날이 오게 될 거라 믿어요. 물론 이런 기술을 다른 부정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려 해서는 안 되겠죠.
[함께 생각해봐요]
도마뱀은 포식자에게 꼬리를 잡히면 스스로 꼬리를 자르고 도망가요.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다시 꼬리는 자라나지요. 여기엔 어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요?
풀이: 도마뱀의 꼬리가 잘리면 '재생아'라는 줄기세포 덩어리가 만들어져 잘린 모양 그대로 재생돼요. 하지만 한 번 꼬리를 자른 도마뱀의 꼬리에는 뼈 대신 힘줄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또다시 꼬리를 자를 수 없다고 해요. 그리고 꼬리가 재생되는 동안 에너지 소모가 너무 커서 몸이 왜소해지고 약해진다고 해요.
[관련 교과] 5학년 2학기 '우리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