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으로 보는 세상
초상화가 나 대신 늙고 추해진다면…
입력 : 2015.01.07 03:05
| 수정 : 2015.01.07 09:12
[48] 오스카 와일드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영원한 젊음 원한 청년 '도리언'
자신 대신 악해지는 초상화 보며 끊임없이 죄짓다 영혼 병들어가죠
겉모습에 집착하는 우리 사회… 진정한 내면의 아름다움 찾아야
약 2000년 전, 광야 한가운데서 악마와 예수가 만났어요. 악마는 예수를 데리고 아주 높은 산에 올라가 세상 모든 나라와 화려한 영광을 보여주고는 "네가 나에게 절한다면, 이 모든 것을 다 주겠다!"고 말해요. 하지만 예수는 악마의 제안을 단호히 거부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실 악마의 제안에는 숨겨진 의도가 있었어요. '선(善)'의 세계를 '악(惡)'의 발아래 둔다는 목적이었지요. 이런 의도를 '모든 것을 다 주겠다'는 사탕발림 속에 교묘히 감춘 것이에요.
문학 작품에는 이러한 악마의 제안이 종종 등장합니다. 겉보기에 한없이 달콤한 악마의 제안에 응한 사람들은 결국 어마어마한 대가를 치르며 파멸하고 말아요. 오늘 함께 살펴볼 책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서도 주인공이 보이지 않는 악마의 제안을 받은 것 같아요. 달콤한 유혹에 빠진 그는 앞으로 어떤 대가를 치르게 될지 모른 채 위태로운 삶을 살거든요.
문학 작품에는 이러한 악마의 제안이 종종 등장합니다. 겉보기에 한없이 달콤한 악마의 제안에 응한 사람들은 결국 어마어마한 대가를 치르며 파멸하고 말아요. 오늘 함께 살펴볼 책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에서도 주인공이 보이지 않는 악마의 제안을 받은 것 같아요. 달콤한 유혹에 빠진 그는 앞으로 어떤 대가를 치르게 될지 모른 채 위태로운 삶을 살거든요.
-
- ▲ /그림=이병익
"얼마나 슬픈 일인가! 나는 점점 늙어가며 끔찍하고 흉측해지겠지. 하지만 이 그림은 항상 젊음을 간직할 거야. 정반대라면 좋으련만! 내가 항상 젊음을 간직하고, 이 그림이 나 대신 점점 늙어간다면 좋을 텐데! 그럴 수만 있다면 난 내 영혼이라도 바치겠어!"
어느 날, 자신과 결혼을 약속한 여배우 시빌 베인이 무대에서 연기를 망치자 크게 실망한 도리언은 그녀를 모욕하며 다시는 보지 않겠다고 선언해요. 그러고는 집에 돌아와 마주한 초상화에서 믿을 수 없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초상화에 그려진 자신의 입가에 잔인한 미소가 깃든 것이에요. 그런데 그 모습을 본 직후 충격적 소식이 전해집니다. 시빌 베인이 독극물을 마시고 자살하였다는 소식이었어요. 도리언은 자신의 잔인한 말과 행동이 불러올 참담한 결과를 이미 알았다는 듯 먼저 변해버린 초상화에 공포를 느낍니다. 하지만 이내 헨리의 위로에 빠져 별 죄책감도 느끼지 못한 채 일상으로 돌아가요.
-
- ▲ 저자 '오스카 와일드'.
"캔버스 위에 채색한 이미지에 어떤 일이 생기든 무슨 상관인가? 그는 안전할 것이다. 바로 그 사실이 가장 중요한 점이었다. 그는 미소를 지으며 원래대로 그림 앞에 장막을 쳤다. 그는 점차 자신의 아름다움에 매혹되었고, 점점 자신의 영혼이 타락하는 것에 흥미를 느꼈다."
도리언은 점점 심한 죄를 저지르고, 더 강한 자극을 찾아 방탕하게 살아갑니다. 그럼에도 늘 매력적인 얼굴을 유지해요. '세월이 흐를수록 자기 인격이 얼굴에 드러난다'는 말은 도리언에게는 해당하지 않았어요. 그의 인격은 얼굴이 아닌 초상화에 새겨졌기 때문이에요.
#이야기
1996년, 정지선을 잘 지킨 운전자에게 냉장고를 선물하는 '양심 냉장고'라는 예능 프로그램이 화제를 모았어요. 첫 촬영 날, 건물 옥상에 숨어서 촬영하던 제작진은 새벽 4시가 넘어서야 묵묵히 신호를 지키는 차 한 대를 발견했습니다. 기뻐하며 도로로 뛰어간 제작진은 깜짝 놀랐어요. 그 차의 운전자가 장애인이었기 때문이에요. 양심 냉장고를 받은 소감을 묻자, 그는 장애로 일그러진 얼굴 근육을 힘겹게 움직이며 이렇게 대답했어요. "전 늘 지켜요."
'양심(良心)'이란 자기 행위에 대해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도덕적 책임을 생각하는 의식을 말해요. 양심 냉장고의 첫 주인은 자기 양심의 목소리에 귀 기울였을 뿐인데, 이 행동이 당시 사회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켰답니다. 겉모습에 관계없이 양심적으로 살아가는 그의 행동이 참 아름다워 보였거든요. 그런데 우리 사회를 둘러보면 아름다움의 기준을 겉모습으로만 판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획일화된 외형적 미(美)와 젊음을 유지하는 것에 큰 가치를 두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었지요. 하지만 진정한 아름다움은 우리 마음과 행동에서 우러나온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거예요.
계속 죄를 지으며 살던 도리언은 어느 순간부터 초상화를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괴로워집니다. 초상화를 누가 볼까 봐 전전긍긍하지요. 얼굴은 예전과 다름없이 아름답지만, 내면은 몹시 더럽고 추악해졌어요. 그가 죄를 지어 초상화 속 얼굴이 변할수록 그의 영혼도 차츰 병들었던 것이에요. 도리언은 모두가 숭배하는 자신의 아름다움을 혐오하며, 과거를 모두 지우고 새 인생을 살고 싶어 해요. 결국 그는 초상화를 없애기로 결심합니다. 하지만 자기 양심을 나타내는 초상화를 없애고자 칼을 든 도리언은 결국 자신에게 칼을 겨눈 셈이 되어 죽음을 맞고 말아요. 자신을 성찰하고 잘못을 반성하는 양심을 버린 대가는 너무도 컸습니다.
[함께 생각해봐요]
여러분은 잠깐의 편의를 위해 양심을 속인 적이 있나요? 반대로 어렵지만 양심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순간에 대해서도 떠올려 보세요. 두 가지 경험을 통해 어떤 점을 깨달았는지 자기 생각을 정리하여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