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경제

어려운 주식·채권 투자, 전문가가 대신 해준답니다

입력 : 2014.12.30 03:04 | 수정 : 2014.12.30 09:12
사람들은 왜 금융시장에서 주식이나 채권을 사고팔까요? 당연히 이러한 투자로 이익을 얻기 위해서예요. 최근 평균 수명이 늘고 교육·주거비 등 생활에 필요한 돈도 점점 많아지면서 재테크(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최대 이익을 창출하는 방법)에 관심 가진 사람이 많아졌지요. 주식·채권 투자는 중요한 재테크 수단 중 하나가 되었고요.

그러나 주식·채권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잘못 투자하면 큰 손실을 볼 위험도 있어요. 게다가 지금처럼 바쁜 현대사회를 사는 사람들이 주식·채권 동향에 계속 신경 쓰며 거래하기도 어렵답니다. 물론 자신이 직접 자금을 관리하며 투자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러기 어려운 사람들은 '펀드(fund)'를 이용하고 있어요.

자기가 직접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펀드를 이용해요.
자기가 직접 주식·채권 등에 투자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펀드를 이용해요. 펀드는 전문 투자 기관이 사람들의 돈을 모아 대신 투자해 주는 금융 상품이지요. /셔터스톡
펀드란 '경제적 이익을 보기 위해 불특정 다수로부터 돈을 모아 운영하는 투자 기금'이라고 정의해요. 말이 조금 어렵지요? 쉽게 설명하면, 여러 사람 돈을 모아서 누군가가 대신 투자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모은 돈을 대신 투자해 주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다른 사람의 소중한 돈을 받아서 대신 투자해야 하므로, 전문적 금융 지식을 가진 사람이어야겠지요? 그래서 금융 전문가들이 모인 전문 투자 기관에서 사람들의 돈을 모아 대신 투자하는 것이 펀드의 기본 구조랍니다.

펀드를 이용하면, 사람들은 투자를 다른 사람에게 맡김으로써 어디에 투자할지 고민할 필요가 없고, 시간도 아낄 수 있어요. 그 대가로 사람들은 전문 투자 기관에 수수료를 내고요. 투자 기관은 펀드로 모은 돈을 다양한 곳에 투자하는데, 이에 따라 펀드 종류도 여러 가지로 나뉩니다.

우선 펀드 종류는 모은 돈을 주식에 더 투자하느냐, 채권에 더 투자하느냐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투자 기관이 투자 자금을 주식에 얼마만큼 투자하느냐에 따라 주식형, 혼합형, 채권형 펀드로 나뉘지요.

우선 '주식형 펀드'는 투자 금액의 60% 이상을 주식 관련 상품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주식과 연관성이 높은 만큼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 큰 펀드이지요.

'혼합형'은 주식 투자 비중이 최대 50~60%인 펀드를 말해요. 채권과 주식에 고르게 투자하기 때문에 주식형 펀드보다는 위험이 작으면서도, 채권형 펀드보다는 수익률이 더 높을 수도 있다는 점이 특징이에요.

마지막으로 '채권형 펀드'는 주식에 40% 미만을 투자하는 펀드(즉 채권에 60% 이상 투자)입니다. 채권에 투자하여 손실 위험은 줄일 수 있지만, 주식형 펀드보다는 수익률이 낮은 편이지요.

이런 분류 외에도 투자 대상에 따라 실물 펀드와 같은 다양한 펀드가 존재합니다. 종류가 다양한 만큼 투자자들은 자기에게 맞는 펀드를 골라서 투자할 수 있지요. 어떤 사람은 위험을 감수하고라도 높은 수익을 얻고 싶어 할 수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수익은 적어도 위험을 줄이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어요.

여러분도 앞으로 펀드를 이용하게 된다면, 투자하고 싶은 펀드가 어떠한지 잘 살펴보고, 자기에게 알맞은 펀드 상품이 무엇인지를 잘 따져보길 바라요!


[1분 상식] '실물 펀드'란 무엇인가요?

펀드는 사람들의 돈을 모아 수익을 내는 구조이므로, 수익을 낼 수 있다면 주식이나 채권이 아닌 다른 것도 투자 대상이 될 수 있답니다. 그래서 석유·금 같은 원자재나 부동산에 투자하는 실물 펀드도 존재하지요. 최근에는 예술품이나 동물, 명품 등 다양한 실물 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펀드도 등장하고 있어요.

서동욱 금융감독원 금융교육국 조사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