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착한 사람이 복 받는 할머니의 옛날이야기
입력 : 2014.12.04 05:38
| 수정 : 2014.12.04 09:00
겨울은 해가 일찍 지고, 밤이 긴 계절이에요. 그래서 옛날 사람들은 따뜻한 화로 주변에 모여 옛날이야기를 듣는 재미로 겨울밤을 보냈대요. 화로는 숯을 담는 그릇인데, 아궁이에서 숯을 몇 개 꺼내 화로에 넣어두고 방 안에서 난방용으로 썼답니다. 화로에 고구마를 구워 간식으로 먹거나 물을 데우기도 했어요. 고구마가 익기를 기다리며 할머니의 옛날이야기를 듣는다면, 긴 겨울밤도 지루하지 않았겠지요?
할머니가 들려주는 옛날이야기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고, 나쁜 짓을 하면 벌을 받는다는 교훈을 준다는 거예요. 이 말을 한자로 '권선징악(勸善懲惡)'이라고 하지요. 착한 일을 하면 어떤 복을 받는지, 마음씨 착한 숯장수 이야기를 통해 함께 알아봐요.
할머니가 들려주는 옛날이야기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착한 일을 하면 복을 받고, 나쁜 짓을 하면 벌을 받는다는 교훈을 준다는 거예요. 이 말을 한자로 '권선징악(勸善懲惡)'이라고 하지요. 착한 일을 하면 어떤 복을 받는지, 마음씨 착한 숯장수 이야기를 통해 함께 알아봐요.
-
- ▲ /웅진주니어 '신통방통 세 가지 말'
얼마 후 숯장수는 나루터에 도착했습니다. 집으로 가는 배를 타려는데 바람이 휭 불지 뭐예요. 노인의 말을 떠올린 숯장수는 배를 타지 않았어요. 나루터를 떠난 배는 곧 거센 바람에 뒤집혀 버렸답니다. 날이 저물자 숯장수는 산속 동굴에서 잠을 자기로 했어요. 그런데 하필 그 동굴은 도깨비 굴이었어요. 무서움에 떨던 숯장수는 노인의 말대로 덩실덩실 춤을 추었지요. 그걸 본 도깨비들은 기분이 좋아져 함께 춤추었고, 숯장수 덕분에 잘 놀았다며 금은보화까지 선물했어요. 보물을 가지고 집에 돌아온 숯장수는 가족을 만나자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때 노인의 말이 또 생각났어요. 그는 반가운 가족 앞에서 넙죽 엎드려 기었지요. 그런데 엎드려 보니 툇마루 밑에 뭔가가 보였어요. 바로 보물을 훔치러 온 도둑이었지요. 숯장수에게 들킨 도둑은 깜짝 놀라 도망가 버렸대요. 어때요? 노인이 알려준 세 가지 말이 참 신통방통하지요?
요즘은 TV나 스마트폰을 보며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가 많아요. 하지만 온 가족이 모여 앉아 맛있는 걸 먹으며 재미있는 이야기를 나누는 즐거움은 그보다 훨씬 크답니다. 오늘 저녁엔 TV와 스마트폰을 끄고 부모님과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면 어떨까요?
[부모님께]
자녀와 함께 '신기한 세 가지 말'이란 제목의 짧은 동화를 지어 서로에게 들려주세요. 이야기를 만드는 재미, 말하는 재미, 들려주는 재미를 모두 느낄 수 있답니다. 창의력·발표력도 쑥쑥 커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