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두 다리는 11, 입 옆에 댄 검지는 10… 몸으로 숫자 만드는 신기한 숫자 퀴즈
입력 : 2014.09.04 05:32
| 수정 : 2014.09.04 09:08
여러분은 수학을 좋아하나요? 안타깝게도 수학을 좋아하기보다는 싫어하거나 어려워하는 친구가 더 많아요. 어떤 친구들은 숫자와 함께 '+, -, ×, ÷, =' 같은 기호가 쓰인 것을 보면, 손에 땀이 나고 머리까지 아프대요. 그래서 '숫자가 다 없어져 버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어린이도 있지요.
하지만 수학을 아주 좋아하는 사람도 많답니다. 지루한 수학을 왜 좋아하느냐고요? 사실 수학은 숫자에 숨겨진 재미있는 이야기를 발견하는 학문이거든요.
만약 우리 주변에서 숫자가 모두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머리 아픈 수학 공부만 사라질까요? 그렇지 않아요. 우리 생활이 몹시 불편해진답니다.
하지만 수학을 아주 좋아하는 사람도 많답니다. 지루한 수학을 왜 좋아하느냐고요? 사실 수학은 숫자에 숨겨진 재미있는 이야기를 발견하는 학문이거든요.
만약 우리 주변에서 숫자가 모두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머리 아픈 수학 공부만 사라질까요? 그렇지 않아요. 우리 생활이 몹시 불편해진답니다.
-
- ▲ /웅진주니어 '숫자가 사라졌어요'
숫자가 우리 생활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았다면, 이제 숫자를 가지고 신나게 놀아 볼까요? 우리 몸에서 숫자를 찾아보는 거예요. 자, 똑바로 서서 거울을 보세요. 쭉 뻗은 두 다리는 숫자 11이에요. 보이나요? 그다음엔 손가락을 연필이라고 생각하고, 왼쪽 눈썹부터 코까지 연결해 보세요. 숫자 7이 되었지요? 이번엔 귀밑에 손가락을 가로로 대 보세요. 숫자 2가 되었어요. 왼손 검지를 펴서 동그랗게 벌린 입 옆에 갖다 대 보세요. 숫자 10이에요!
어때요? 숫자가 신기한 놀잇감처럼 느껴지지요? 친구랑 번갈아 몸으로 숫자를 만들며 숫자 퀴즈 놀이를 하면 더 재미있을 거예요.
[부모님께]
자녀와 함께 '나만의 비밀번호'를 만들어 보세요. 비밀번호는 자신이 좋아하는 숫자들을 늘어놓거나 섞어서 만들면 돼요. 좋아하는 숫자, 친구의 전화번호, 가족의 생일 등으로 만들 수 있어요. 비밀번호는 현관문의 잠금장치, 자전거를 묶어 두는 자물쇠, 예금통장, 이메일 계정 등 다양한 곳에 쓰이지요. 비밀번호처럼 우리 생활 곳곳에 숨어 있는 숫자도 자녀와 함께 찾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