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여행
어린 이순신이 말 타고 활 쏘던 곳… 세계유산 '난중일기'도 볼 수 있어요
입력 : 2014.08.20 05:49
| 수정 : 2014.08.20 09:09
[96] 충남 아산 현충사
요즘 최고 인기를 누리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아마 '이순신 장군'이 아닐까요? 이순신 장군과 명량해전(1597년)을 소재로 한 영화 '명량'이 개봉 21일 만에 1500만 관객을 넘기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으니까요. 명량해전은 한산도해전(1592년), 노량해전(1598년)과 함께 '임진왜란 3대 해전'으로 꼽히지요. 이순신 장군의 유적지도 대부분 명량해전 현장인 전남 진도 울돌목을 비롯해 여수·해남, 경남 통영·남해 등 남해안 전체에 걸쳐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이 수군통제사를 지냈기 때문이지요. 수군통제사란 임진왜란 중에 신설된 관직으로, 충청도와 전라도, 경상도 등 3도의 수군을 총지휘하던 직책을 말해요.
오늘은 3도 가운데 충청남도 아산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사당 '현충사(顯忠祠)'를 함께 둘러볼 거예요. 이순신 장군은 1545년 지금의 서울시 중구 인현동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은 외가가 있는 충남 아산에서 보냈답니다. 지금의 현충사 자리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무관 꿈을 키우며 무예를 익혔지요. 현충사에는 이순신 장군이 결혼하여 살던 집도 있답니다. 그 옆으로 은행나무 두 그루가 서 있는데 이곳은 이순신 장군이 활을 쏘던 자리였다고 해요. 활터 주변은 이순신 장군이 말을 타던 곳이었고요.
오늘은 3도 가운데 충청남도 아산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사당 '현충사(顯忠祠)'를 함께 둘러볼 거예요. 이순신 장군은 1545년 지금의 서울시 중구 인현동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은 외가가 있는 충남 아산에서 보냈답니다. 지금의 현충사 자리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무관 꿈을 키우며 무예를 익혔지요. 현충사에는 이순신 장군이 결혼하여 살던 집도 있답니다. 그 옆으로 은행나무 두 그루가 서 있는데 이곳은 이순신 장군이 활을 쏘던 자리였다고 해요. 활터 주변은 이순신 장군이 말을 타던 곳이었고요.
-
- ▲ (위 사진)현충사에는 이순신 장군이 무과에 급제하기 전부터 살던 고택이 있어요. (아래 왼쪽 사진)현충사에 전시된 거북선 모형이에요. (아래 오른쪽 사진)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쓴‘난중일기’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어요. /문화재청·유석재 기자(아래 오른쪽 사진)
2011년 현충사 내에 문을 연 충무공 이순신 기념관은 전시관과 교육관으로 만들어졌어요. 전시관에는 거북선과 당시 사용된 무기, 이순신 장군이 쓰던 칼, 친필 문서 등 각종 유물과 자료가 전시되었지요. 이 가운데 어린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것은 '거북선'이에요. 거북선 모형뿐 아니라 거북선의 제조 과정까지 그림과 영상으로 속속 들여다볼 수 있답니다.
전시관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쓴 '난중일기'도 볼 수 있어요. '난중일기'는 2013년 6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지요. 임진왜란이 시작된 1592년부터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노량해전까지 무려 7년간의 전쟁 기록을 담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자료이지요. '난중일기'에는 임진왜란의 기록뿐만 아니라,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 기후, 환경 등이 담겨 있어 역사적 연구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크기 때문이에요. 예전에는 진본이 전시되었는데, 현재는 유네스코의 권고에 따라 진품은 수장고에 보관되고 복제본이 전시되어 있어요.
기념관에는 어린이 여러분이 좋아할 만한 '4D 체험관'도 마련돼 있답니다.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 전투였던 노량해전을 입체 영상과 움직이는 체험 의자를 통해 실감 나게 볼 수 있습니다.
[1분 상식] '서원 철폐령'이란 무엇인가요?
서원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사학 교육기관이에요. 초기에는 인재 양성과 향촌의 유교 질서 유지 등 긍정적 기능을 하였지요. 그러나 점차 토지·노비에 대한 면세와 면역(免役) 혜택을 받는 서원이 늘고, 혈연·지연·학벌·당파 관계 등과 연결되어 폐단이 많아졌어요. 그러자 숙종 임금은 새로운 서원 설립을 금했고, 영조 임금도 일부 서원을 철폐했지요. 이후 1864년(고종 1) 집권한 흥선대원군은 왕권을 높이고, 병인양요로 궁핍해진 국가 재정에 도움이 되게 하려는 의도로 서원 철폐령을 내립니다. 불법적인 서원의 재산을 환수하고, 서원에 하사한 토지에도 세금을 징수하게 하였어요. 1870년에는 이 명령에 따르지 않은 서원을 철폐했고요. 결국 전국 650여개 서원 중 소수서원 등 47곳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철폐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