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저민 프랭클린
100달러 지폐에 실린 '미국 독립의 아버지'
입력 : 2014.07.01 05:51
| 수정 : 2014.07.01 09:05
학교 2년 다니고 양초 공장서 일하다 인쇄소 차려 신문·책 인기리에 발행… 대학교·美 최초의 공공도서관 설립
독립선언서·헌법 작성 등 참여하며 美 독립에 크게 활약해 존경받아요
여러분, 미국의 화폐인 '달러(dollar)'화를 본 적 있나요? 우리나라 돈에 역사적으로 위대한 인물이 그려진 것처럼, 달러에도 미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위인의 모습이 새겨져 있답니다. 그 가운데 100달러 지폐에 담긴 사람이 바로 '벤저민 프랭클린'이에요. 프랭클린이 번개의 비밀을 밝히고 피뢰침을 발명한 훌륭한 과학자인 것은 알겠지만, 왜 이렇게까지 큰 존경을 받는지 궁금하다고요? 프랭클린은 과학자이자 발명가였을 뿐만 아니라 성공한 사업가였으며, 뛰어난 작가였어요. 무엇보다 미국이 독립을 선언하고 나라를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한 위대한 정치가이기도 했답니다.
프랭클린은 1706년 미국 보스턴에서 양초와 비누 가게를 운영하는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어요. 형제 17명 중 열다섯째로 태어난 그는 9세에 학교에 입학했지만 불과 2년 만에 학업을 중단해요. 집안 형편상 대학에 보낼 수 없었기에 아버지는 그에게 공부보다는 기술을 가르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프랭클린은 11세 때부터 아버지가 운영하는 양초 공장에서 일했지요.
프랭클린은 1706년 미국 보스턴에서 양초와 비누 가게를 운영하는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어요. 형제 17명 중 열다섯째로 태어난 그는 9세에 학교에 입학했지만 불과 2년 만에 학업을 중단해요. 집안 형편상 대학에 보낼 수 없었기에 아버지는 그에게 공부보다는 기술을 가르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프랭클린은 11세 때부터 아버지가 운영하는 양초 공장에서 일했지요.
-
- ▲ /그림=정서용
성공한 사업가가 된 프랭클린은 필라델피아 주민을 위해 일했어요. 책 읽기를 좋아한 그는 친구들과 책을 모아 박물관으로 사용되던 건물을 도서관으로 꾸밉니다. 이 도서관은 북아메리카에 처음 생긴 공공도서관이었지요. 학교를 2년밖에 다니지 못한 프랭클린은 교육에도 무척 관심이 많았어요. 그는 '필라델피아 아카데미'라는 학교를 설립하는데, 이 학교가 오늘날 미국 최고 명문 대학 중 하나인 펜실베이니아 대학이랍니다.
43세가 된 프랭클린은 인쇄소 사업에서 물러나요. 돈을 많이 버는 것보다 더 가치 있는 삶을 살고 싶었거든요. 그래서 이때부터 과학 연구에 몰두합니다. 특히 전기의 성질을 밝히고자 노력하지요. 번개의 비밀을 알아내고 피뢰침을 발명한 것도 이 무렵 일이에요. 1750년엔 전기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한 '전기에 관한 실험과 관찰'이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과학자가 되었답니다. 그는 이 밖에도 질병이나 태양의 흑점, 자석, 파도와 해류 등 여러 가지 자연현상에 대해서도 연구했어요. 프랭클린이 이룬 과학적 업적을 높이 평가한 영국왕립학회가 프랭클린에게 '코플리 황금 메달'을 수여했을 정도예요. 이 메달은 오늘날 노벨상과 견줄 만할 대단한 상이랍니다.
-
- ▲ 지난해 10월부터 유통된 미국 100달러 지폐 신권(위 사진)과 구권(아래 사진)이에요. 미국 100달러 지폐에는 벤저민 프랭클린 초상화가 담겼지요. /조선일보 DB
무엇보다 프랭클린이 미국인의 존경을 받는 것은 정치가로서 미국 독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 때문이에요. 그는 미국 독립선언서 작성에 참여했을 뿐 아니라 외교관이 되어 미국 독립에 대한 프랑스의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했답니다. 미국 독립전쟁이 끝난 후에는 미국 대표로서 영국과 평화조약을 맺는 데도 참여했지요. 이 조약에서 영국은 미국을 독립국으로 공식 인정하였습니다.
또한 그는 미국 헌법 제정 회의에도 펜실베이니아주 대표로 참여하였어요. 이 회의에서는 헌법을 자기 주에 유리하게 만들려는 각 주의 대표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는데, 프랭클린은 이 논쟁을 잠재우는 타협안을 내놓아 미국 헌법 탄생에 크게 기여했다고 해요.
이런 업적 덕분에 그는 미국 대통령을 지낸 존 애덤스, 토머스 제퍼슨 등과 함께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학교 교육도 제대로 받지 못한 벤저민 프랭클린이 왜 100달러 지폐에 초상화가 실릴 정도로 존경받는지 알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