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보는 경제
자유롭게 입·출금 가능하면 요구불예금, 안 되면 저축성예금이죠
용돈기입장을 써서 용돈을 잘 관리한 친구들은 이제 은행에 저축할 수 있겠지요? '저축'은 그냥 은행에 가서 돈을 맡기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친구가 많겠지만, 저축을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예금의 종류가 아주 다양하기 때문이지요. 왜 그럴까요? 예금은 모두 돈을 모으기 위해 하는 것이지만, 돈을 모으는 목적은 사람마다 다르거든요. 어떤 사람은 돈을 모아서 집을 사려고 하고, 어떤 사람은 여행을 가려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단순히 쓰고 남은 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예금하지요. 그래서 각자 다른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예금 상품이 생겨났답니다.
예금의 종류는 크게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으로 나눌 수 있어요. 경제 용어는 항상 어렵지요?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그리 어렵지 않아요. 이 두 가지 예금은 돈을 입금하거나 출금하는 데서 큰 차이가 있어요. 여러분은 '예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통장을 만들어서 자기가 저축하고 싶을 때 돈을 넣고, 그 돈을 쓰고 싶을 때는 언제든지 다시 빼서 쓰는 것이라고 생각하지요? 이런 예금이 바로 '요구불예금'이에요. 즉, 요구불예금은 입금과 출금이 자유로워서 쓰고 남은 용돈을 관리하기에 효과적인 예금이랍니다.
-
- ▲ 예금 상품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예금 목적에 맞는 상품을 고르는 게 중요해요. /Getty Images/멀티비츠
반대로 저축성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롭지 않은 예금이에요. 크게 정기적금과 정기예금으로 나눌 수 있지요. 정기적금은 일정한 금액을 일정 기간 정기적으로 예금하고, 만기가 되면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약속된 금액을 돌려받는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 10년 동안 매달 1만원씩 꼬박꼬박 저축하고, 10년 뒤에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거예요. 정기예금은 목돈을 일정 기간 은행에 넣어두고 만기일에 이자와 함께 원금을 돌려받는 예금입니다. 예컨대 100만원을 10년 동안 은행에 넣어뒀다가 10년 뒤에 이자와 원금을 돌려받는 식이지요.
그렇다면 내 마음대로 빼서 쓸 수도 없는 저축성예금을 왜 하는지 궁금하지요? 요구불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롭지만 이자율이 낮은 단점이 있어요. 저축성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롭지 않은 대신 이자율이 높고요. 따라서 자신의 목적에 맞는 예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만약 여러분이 쓰고 남은 용돈을 은행에 넣어놨다가 필요할 때 빼서 쓰고 싶다면 요구불예금을 선택하는 게 좋아요. 매달 정기적으로 받는 용돈 중에서 얼마를 떼어 저축하였다가 1년 뒤 예쁜 자전거를 사고 싶다면, 저축성예금 중에서도 정기적금을 선택해야 하고요. 이처럼 자신의 목적에 맞는 예금 상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여러분 나이에는 요구불예금보다는 저축성예금을 해 보는 게 좋아요. 어릴 때부터 꼬박꼬박 일정액을 저축하면 과소비를 줄일 수 있고, 저축 습관도 더 쉽게 들일 수 있거든요. 오늘부터 계획을 잘 세우고 은행에 가서 저축을 시작해 보세요.
[1분 상식]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의 이자율은 왜 다른가요?
은행은 사람들의 예금으로 돈을 모으고, 필요한 사람에게 돈을 빌려주는 역할을 해요. 예금은 은행의 돈이 아니라 만기가 지나면 돌려주어야 하므로, 예금을 잘 관리하면서 돈을 빌려주는 것이 중요하지요. 그런데 요구불예금은 고객이 자기 마음대로 돈을 빼갈 수 있기 때문에 은행에서 관리하기가 어렵답니다. 이를 잘 관리하려면 그만큼 비용이 발생하고요. 그래서 이자를 많이 줄 수가 없어요. 반면 저축성예금은 일정 기간 돈을 뺄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으로 예금을 관리할 수 있어 요구불예금보다 높은 이자를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