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세계
유목민 사는 사막의 초원지역, 온난화로 줄어들고 있어요
입력 : 2014.06.16 05:38
| 수정 : 2014.06.16 09:22
연일 계속되는 무더위에 여름이 되었음을 실감하지요? 그래서 우리보다 훨씬 뜨거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생활할까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온통 모래로 뒤덮여 풀 한 포기 구경하기 어려운 사막처럼 말이에요. '사막'이라고 하면 대부분 햇빛에 반짝이는 황금빛의 모래사막을 떠올리지만, 지구 상의 사막 중 모래사막은 10%밖에 되지 않습니다. 한성필 작가는 프랑스 작가 생텍쥐페리의 소설 속 주인공을 만나고 싶어 아프리카 북부의 사하라 사막을 찾았다고 해요. 여러분도 잘 아는 소행성 B612에서 온 '어린 왕자' 말이에요.
건조기후 지역 중에서도 연 강수량이 250㎜ 이하인 곳을 사막기후라고 해요. 사하라 사막의 연 강수량은 여러분의 손 한 뼘에도 미치지 못하는 120㎜ 이하랍니다. 사막은 풀과 나무가 거의 없고, 습지나 호수도 매우 적어서 태양에너지에 의해 쉽게 뜨거워져요. 더욱이 구름 없이 맑은 날이 대부분이라 뜨거운 태양 볕이 그대로 내리쬐어 낮 기온이 40℃ 이상으로 올라가지요. 하지만 밤이 되면 기온이 뚝 떨어져서 영하에 가까워지는 경우도 있어요. 이 역시 구름이 없어서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를 공기 중에 가둬놓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밤하늘의 별을 보기에는 더없이 좋은 조건이지요.
건조기후 지역 중에서도 연 강수량이 250㎜ 이하인 곳을 사막기후라고 해요. 사하라 사막의 연 강수량은 여러분의 손 한 뼘에도 미치지 못하는 120㎜ 이하랍니다. 사막은 풀과 나무가 거의 없고, 습지나 호수도 매우 적어서 태양에너지에 의해 쉽게 뜨거워져요. 더욱이 구름 없이 맑은 날이 대부분이라 뜨거운 태양 볕이 그대로 내리쬐어 낮 기온이 40℃ 이상으로 올라가지요. 하지만 밤이 되면 기온이 뚝 떨어져서 영하에 가까워지는 경우도 있어요. 이 역시 구름이 없어서 지표면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를 공기 중에 가둬놓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밤하늘의 별을 보기에는 더없이 좋은 조건이지요.
-
- ▲ /한성필 사진작가
그러나 유목민이 급증하면서 가축과 경작지가 크게 늘고, 지구온난화로 극심한 가뭄까지 이어지면서 사헬 지대가 빠르게 사막으로 변하고 있어요. 그래서 현재 사헬지대에 사는 약 1억4500만명 가운데 2000만명 이상이 극심한 굶주림에 시달린다고 해요. 사헬 지대의 재앙은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인간이 초래한 환경 재난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