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세계
샴푸·세제의 원료는 정글 팜油(유)… 낭비하면 오랑우탄 집 사라져요
입력 : 2014.06.02 05:30
| 수정 : 2014.06.02 09:26
여러분은 '정글(jungle)'이라고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나요? 초록색 나무가 빽빽이 우거지고, 그 사이를 활보하는 수많은 동물이 떠오른다고요? 하지만 한성필 작가가 인도네시아에서 마주한 정글은 주검처럼 창백하고 앙상한 나무들이 초라하게 서 있는 차갑고 우울한 모습이었다고 해요.
-
- ▲ /사진=한성필 사진작가
적도가 섬 중앙을 관통하는 보르네오(Borneo)는 세계에서 셋째로 큰 섬이에요.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이곳을 칼리만탄(Kalimantan)이라고 부르지요. 정글과 같은 열대우림 지역은 지구 면적의 약 6%를 차지하며, 전 세계 생물종의 절반 이상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지구 산소의 30% 가까이 생산하는 지구의 허파와 같은 곳이지요. 이 가운데 칼리만탄의 정글에는 특이하게도 영장류인 오랑우탄이 살아요. 몸집이 커서 나무를 잘 타지 못하는 고릴라와 달리 오랑우탄은 대부분 나무에서 생활하며 나무 열매를 즐겨 먹습니다. 그런데 수십 년 전부터 이곳에 빽빽하게 들어찼던 원시림과 그 사이를 오가던 붉은 털의 오랑우탄이 빠르게 사라지기 시작했어요.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1970년대 인도네시아는 식량 자급자족 정책을 펼치면서 수도가 있는 자바섬 주민 몇 만 명을 반강제적으로 이곳에 이주시켰어요. 그리고 밀림을 논으로 만드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는데, 칼리만탄의 토질이 벼농사에 적합하지 않아서 결국 실패하고 말았지요. 이 과정에서 대규모의 산림이 파괴되었고요. 더 큰 문제는 그 후에 벌어졌어요. 이주민이 이 섬에서 살 수 있는 방법은 벌목(伐木)과 화전(火田) 말고는 없었거든요. 칼리만탄에는 지금도 불법적인 벌목과 화전이 성행하여 정글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
- ▲ /사진=한성필 사진작가
이번 주 목요일(5일)은 '환경의 날'이에요. 점점 사라지는 정글과 동물을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욕실이나 주방에서 쓰는 샴푸, 세제 등을 꼭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는 작은 일부터 시작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