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여행

하회탈·양진당… 다양한 유산 간직해 마을 전체가 문화재 지정됐죠

입력 : 2014.05.14 05:26 | 수정 : 2014.05.14 09:02

[82] 안동 하회마을

하회탈은 병산탈과 함께 국보(제121호)로 지정되었어요.
하회탈은 병산탈과 함께 국보(제121호)로 지정되었어요. /이재우 기자
오는 6월, 남한산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고 해요. 그렇게 된다면 우리나라의 세계유산은 총 11건이 되지요. 그럼 남한산성보다 앞서 등재된 열 번째 세계유산은 무엇일까요? 바로 2010년에 선정된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이에요. 오늘은 안동 하회마을을 함께 살펴보며 세계유산의 의미를 되짚어봐요.

하회마을에는 하회탈과 병산탈, 징비록(懲毖錄) 등 국보 2점과 양진당(養眞堂), 충효당(忠孝堂) 등 보물 4점이 있어요. 이 밖에도 사적과 중요한 민속자료가 즐비해 마을 전체가 문화재(중요민속자료 제122호)로 지정됐지요. 한마을 안에 이렇게 귀중한 문화재가 많다는 점이 참 신기합니다.

옛날 우리나라는 혈연 중심 사회로 같은 성씨끼리 모여 마을을 이루고 살았어요.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가 모여 살던 곳으로, 지금까지 옛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요. 풍산 류씨 가문은 많은 인재를 배출했는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이 조선시대 대표 학자인 겸암 류운룡과 서애 류성룡 형제입니다. 특히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낸 류성룡은 '징비록'을 지어 임진왜란이 왜 일어났으며 어떻게 전쟁을 치렀는지를 기록했지요.

하회마을의 양진당은 바로 풍산 류씨의 종가(★)입니다. 이 집은 13세기 무렵에 처음 지어졌는데, 임진왜란 때 집 일부가 소실돼 17세기에 손보았다고 해요. 그래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건축양식이 섞여 있답니다. 원래 99칸이었다가 지금은 53칸이 남아 있어요. 양진당과 함께 하회마을을 대표하는 충효당은 류성룡을 기리는 집으로, 징비록 등의 저서와 유품이 전시되어 있지요. 하회마을에서 가장 규모가 큰 북촌댁과 남쪽에 있는 남촌댁 역시 류씨 일가가 지었는데, 주변 초가들과 멋스럽게 조화를 이룹니다.

'하회탈'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탈입니다. 각시, 중, 양반, 선비, 초랭이, 이매, 부네, 할미 등 11개의 탈이 전해져요. 우리나라 탈은 대개 종이나 바가지로 만들어서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이 드문데, 하회탈은 오리나무로 만들어 두세 겹 옻칠을 한 데다 따로 건물을 지어 보관한 덕분에 잘 보존되었다고 해요. 우리나라 탈춤 중 가장 오래된 '하회별신굿탈놀이'가 바로 하회탈을 쓰고 추는 춤이에요. 마을 입구의 하회탈박물관에 들르면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풍산 류씨 종가인 양진당은 고려와 조선시대 건축양식이 섞인 모습이에요. 원래 99칸이었다가 지금은 53칸이 남아 있어요.
풍산 류씨 종가인 양진당은 고려와 조선시대 건축양식이 섞인 모습이에요. 원래 99칸이었다가 지금은 53칸이 남아 있어요. /문화재청
마을 건너편에 있는 절벽인 부용대에 오르면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길게 마을을 감싸 안고 흐르는 모습이 한눈에 들어와요. 하회(河回)라는 마을 이름도 '강(河)이 마을을 돈다(回)'는 뜻이지요. 마을 인근에는 류성룡 형제의 정신이 깃든 화천서원과 병산서원이 있습니다. 씨족 공동체가 모여 살며 독특한 마을 문화를 만들어내고, 후손들이 이를 잘 지켜온 곳이 바로 안동 하회마을이에요. 이 마을의 가치가 얼마나 큰지, 왜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는지 짐작되지요?


★종가(宗家):
족보로 보아 한 문중에서 맏이로만 이어 온 큰집.


[1분 상식] '서원(書院)'은 어떤 곳인가요?

조선 중기 이후 선현의 제사를 지내고, 인재를 교육하고자 전국에 세운 사설 기관이에요. 설립 초기에는 인재 양성과 향촌 질서 유지에 긍정적 역할을 했어요. 명종 때에는 토지와 노비에 대해 면세 특권을 받는 ‘사액서원’도 생겨났지요. 그러나 숙종 때에만 300여개가 새로 설치되는 등 조선 후기로 갈수록 그 수가 크게 늘고, 면세 특권을 남용하여 국고 수입이 감퇴되는 등 여러 문제가 벌어져요. 결국 1741년 영조가 일부 서원을 철폐합니다. 이후 고종 때 정권을 잡은 흥선대원군은 1864년부터 서원의 특권을 없애고 47개만 남긴 채 모두 철폐했어요.


임후남 | 여행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