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쑥쑥 역사
음식 맛은 장맛… 삼국시대부터 장 담궜죠
입력 : 2014.02.04 05:46
| 수정 : 2014.02.04 08:52
-
- ▲ ‘관자’라는 책에‘제나라 환공이 만주에서 콩을 가져와 중국에 보급하였다’는 내용이 있어요. /위키차이나
그러다 보니 우리 조상은 장을 담그고 간수하는 일을 무척 중요하게 여겼어요. 민가(★)는 물론 왕실에서도 마찬가지였지요. 조선시대 허균이 지은 야사집(★)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와요.
선조 임금 때 정유재란이 일어나 전라도 남원이 왜군의 수중에 넘어가는 등 전세(★)가 심상치 않자 조정에서는 임금의 피란에 대해 회의를 했어요. 피란처로는 평안도 영변이 적당하다는 데 의견이 모였지요. 그러자 남자안이란 신하가 이렇게 말했어요. "그곳은 장이 시원치 못하다 하니 합장사(合醬使)를 미리 보내야 할 것 같습니다. 합장사로는 평안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신잡을 보내는 게 어떠할지요."
그러자 한유천이란 신하가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어요. "당치 않습니다. 신잡은 안 됩니다. '신(申)'이라는 성은 장 담그기를 꺼리는 날인 신일(辛日)과 음이 같으니, 신불합장(辛不合醬)이라 좋지 않습니다."
'합장사'란 조선 시대에 임금이 피란을 가게 되면, 피란처에 먼저 가서 장 담그는 일을 맡아 책임지는 관리를 말해요. '신불합장'이란 신일(辛日), 즉 '신(辛)'자가 들어간 날에 장을 담그면 시어진다고 하여 장 담그기를 꺼리던 일을 말하고요.
다시 말해 신잡의 성인 '신(申)'과 신일에 들어가는 '신(辛)'의 발음이 같으므로, 신잡을 합장사로 임명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에요. 우리 조상이 장 담그는 일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겼는지 알겠지요?
그렇다면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장을 담가 먹었을까요? '삼국지'의 '위지동이전'에 "고구려인은 술 빚기, 장 담그기, 젓갈 등의 발효 식품을 매우 잘한다"는 기록이 있고, '삼국사기'에는 683년(신문왕 3년)에 왕비 맞을 때의 폐백 품목으로 간장과 된장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삼국시대에 이미 장이 사용되었던 것이지요. 장의 재료는 콩이니 콩 재배는 그보다 훨씬 앞섰겠지요?
-
- ▲ 우리 선조는 모든 음식에 장으로 맛을 냈기 때문에 장 담그는 일을 무척 중요하게 여겼지요. /조선일보 DB
또 함경북도 회령군 오동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콩이 출토되기도 했고요. 콩의 원산지로 알려진 만주 지방은 우리 조상이 세운 나라인 고조선의 영토이며 옛 고구려 땅이기도 해요. 그러니 우리 조상이 콩을 재료로 하여 장을 담가 먹은 역사가 오래된 것이지요. 그렇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콩 자급률(★)은 절반에 훨씬 못 미친다고 해요. 오히려 미국으로부터 엄청나게 많은 양을 수입해오고 있지요. 무척 안타까운 일이에요.
★조미료(調味料): 음식을 만드는 주재료인 식품에 첨가해서 음식의 맛을 돋우며 조절하는 물질
★민가(民家): 일반 백성들이 사는 집
★야사집(野史集): 민간에서 사사로이 기록한 역사책을 말함
★전세(戰勢): 전쟁, 경기 따위의 형세나 형편
★자급률(自給率): 필요한 물자를 자체로 공급하는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