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자라는 어린이
'통통' 튀는 고무, 나무에서 나온대요
입력 : 2014.01.16 05:34
| 수정 : 2014.01.16 09:08
'마치 살아 있는 것 같군!'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는 그곳에서 '이것'을 처음 보고 이렇게 생각했대요. 인디언들이 가지고 놀던 동그란 '이것'은 땅에 닿을 때마다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통통 튀어 올랐거든요. 이것은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고무'였답니다. 지금의 여러분이 가지고 노는 공과는 그 모습이나 만드는 방법이 다르겠지만, 옛날 사람들도 고무로 공을 만들어 놀았던 거예요. 여러분도 공놀이 좋아하지요? 축구공, 농구공, 테니스공 등은 고무로 둘러싸여 있어요. 그래서 던지거나 발로 뻥 차면 찌그러졌다가도 금세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지요. 땅에서 통통 잘도 튀어오르고요.
-
- ▲ /웅진주니어 '고무랑 놀자'
이렇게 쓸모 있는 고무는 어디에서 왔을까요? 고무는 고무나무에서 나오는 나무즙으로 만들어요. 이 나무즙을 받아서 굳히면 고무가 되는데, 이것을 '천연고무'라고 불러요. 사람들은 천연고무에 다른 물질을 섞거나, 석유를 원료로 하여 합성고무를 만들었지요. 합성고무는 천연고무보다 탄력이 더 강하고 오래 쓸 수 있답니다. 쭉쭉 늘어나고 통통 튀는 고무가 자연에서 왔다니 놀랍지요? 고무나무에서 얻은 고무로 생활을 편리하게 만든 사람들의 지혜와 노력은 더욱 대단하고요.
[부모님께]
공, 풍선, 고무장갑, 고무줄 등 고무는 우리 생활 곳곳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 우리 생활에 쓰이는 고무를 찾아보고, 고무의 성질을 이용해 다양한 놀이를 해보세요. 평소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우리 주변의 물건에 흥미를 갖고 주의 깊게 관찰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