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어있는 세계사
이곳에 기독교와 이슬람이 공존
입력 : 2013.12.06 05:22
| 수정 : 2013.12.06 08:46
터키 이스탄불 '성소피아박물관'
4세기 고대 로마 콘스탄티누스 황제, 기독교 인정하고 성소피아성당 만들어
6세기 비잔틴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성소피아성당 웅장하게 다시 지었죠
비잔틴 제국 멸망 후 모스크 되었다가 1923년 이후 박물관으로 쓰고 있어요
튤립의 원산지는 어디일까요? 커피 향기 가득한 카페를 처음 만든 나라는 또 어디일까요? 아마 여러분 중 상당수는 유럽의 어느 나라라고 대답할 거예요. 그런데 정답은 터키랍니다. 이슬람교를 믿는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시절, 술에 취하는 대신 튤립 정원에서 커피를 마시는 카프베(커피 전문점, 프랑스어로 카페)가 만들어졌다고 해요. 오스만 제국이 커지면서 튤립과 카프베도 유럽으로 전파된 것이지요. 동서양의 문화를 연결하는 역할을 했던 터키. 이 나라를 찾는 관광객이라면 누구나 빠짐없이 이스탄불에 있는 성소피아박물관을 둘러보고 오지요. 1500여년을 한자리에서 지켜온 성소피아박물관의 역사가 바로 터키의 역사이기 때문이에요.
- ▲ 터키 이스탄불에 있는 성소피아성당이에요. 뾰족 솟은 네 개의 기둥은 이슬람 양식이에요. /Corbis/토픽이미지
6세기 비잔틴 제국은 지중해를 품에 안고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거대한 영토를 갖게 되었죠. 그 전성기에 유스티니아누스 황제가 있었어요. 유스티니아누스는 평범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군인이었던 삼촌이 얼떨결에 황제가 되면서 그의 인생도 달라졌어요. 자식이 없었던 삼촌의 뒤를 이어서 황제의 계승자가 된 거예요. 아마도 황제가 되기까지 큰 어려움이 있었을 거예요.
- ▲ 비잔틴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위키피디아
하지만, 콘스탄티노플은 이미 불에 타 폐허가 되어 있었지요. 그리스 정교의 심장 역할을 하던 성소피아성당도 잿더미 속으로 사라져 버렸어요. 비잔틴 제국의 영광을 살리고 강력한 황제의 권위, 신앙심을 보여주기 위해 대대적인 건축이 시작되었어요. 최대한 웅장하고 빠르게, 그리고 내부를 화려하게 꾸미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졌죠. 공사 시작 5년이 지난 537년, 드디어 성당이 완공되었어요. 너비 32m, 높이 48m의 거대한 둥근 천장 아래로 40여개나 되는 창문이 있어 천국의 햇살이 눈부시게 들어왔어요. 황금으로 된 모자이크에는 성경 이야기를 담았어요. 아기 예수를 쌌던 포대기, 최후의 만찬에 사용되었던 식탁, 베드로를 묶었던 사슬 등의 유물이 가득 채워졌지요. 당시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성당이었어요. 성당에 처음 방문한 날, 유스티니아누스는 작은 소리로 이렇게 읊조렸다고 해요. "이 아름다운 성당을 내가 만들었다니…. 솔로몬, 내가 당신을 이겼소." 물론 이 말이 사실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답니다.
- ▲ 성소피아성당 내부의 모습이에요. 터키 공화국이 들어선 후 박물관으로 쓰고 있지요. /Corbis/토픽이미지
현재 터키와 그리스는 성소피아박물관의 용도를 두고 서로 다른 주장을 하고 있어요. 이슬람교도들이 대부분인 터키에서는 다시 모스크로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어요. 물론 그리스 정교의 전통을 이어받은 그리스에서는 절대 반대하고 있고요. 터키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함께 해온 성소피아박물관의 운명은 이제 어떻게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