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쑥쑥 역사

행주치마 어원은 행주대첩이 아니래요

입력 : 2013.10.29 09:12
행주는 식기나 식탁, 조리대 등을 훔치거나 씻을 때 쓰는 작은 헝겊을 말해요. 쓰이는 데가 많아 주방 청소의 일등 도우미로 꼽히지요. 그럼 행주치마는 무엇일까요? 여러분의 부모님이 부엌일을 할 때 치마 위에 덧입는 짧은 치마를 뜻한답니다. 우리 조상은 부엌일을 하다가 물 묻은 손을 닦거나 그릇의 물기를 닦을 때, 또는 뜨거운 솥뚜껑을 들어 올릴 때 행주치마를 이용했어요. 오늘날 행주치마는 옷에 물이 묻거나 오물이 튀는 것을 막기 위해 입는 앞치마를 일컫는 말이 되었지요.

그런데 행주치마가 행주대첩에서 비롯된 말이라는 이야기도 있어요. 행주대첩은 한산도대첩, 진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전세(★)를 바꾼 3대 전투 중의 하나에요. 조선에 불리하던 분위기가 3대 전투 승리를 계기로 유리하게 바뀐 것이지요. 대첩(大捷)은 큰 승리를 거두었다는 뜻이에요.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1593년 2월 행주산성에서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과 왜군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어요. 동이 틀 새벽 무렵부터 3만여 명에 달하는 왜군은 여러 겹으로 행주산성을 포위하고, 사방에서 공격을 이어갔어요.

한국민속촌에서 행주치마를 두른 여성이 먹을거리를 준비하고 있어요(위 사진). 사적 제56호로 지정된 행주산성에서 한강의 방화대교가 바라보인답니다(아래 사진).
한국민속촌에서 행주치마를 두른 여성이 먹을거리를 준비하고 있어요(위 사진). 사적 제56호로 지정된 행주산성에서 한강의 방화대교가 바라보인답니다(아래 사진). /토픽이미지
조선군은 왜군의 3분의 1에도 못 미치는 병력이었지만, 침착하고도 용감하게 전투에 나서 왜군을 물리쳤어요. 수많은 군사를 이끌고 온 적을 통쾌하게 무찌른 이 전투를 '행주대첩'이라고 불러요. 이 전투에서 행주산성 안의 부녀자들은 치마에 돌을 날라 병사들에게 전해주었어요. 병사들은 그 돌을 무기로 사용해 왜군을 공격했고요. 당시 이런 공적(★)을 기리는 뜻에서 여성들이 돌을 날랐던 치마에 '행주'라는 이름을 붙여 '행주치마'라는 말이 생겨났다는 거예요.

하지만 이 이야기는 잘못된 것이에요. 왜냐면 행주치마와 행주산성은 행주대첩이 일어나기 전부터 존재했던 말과 이름이기 때문이지요. 행주치마라는 말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보다 훨씬 전인 1517년 조선 중종 때 이미 등장했어요. 당시 어문학자 최세진이 쓴 '사성통해(四聲通解)'에 나왔거든요. 그로부터 10년 뒤에 최세진이 지은 한자 학습서 '훈몽자회(訓蒙字會)'에도 같은 말이 나오지요. 이 책에선 행주를 말포(抹布)라고 풀이하고 있어요. '닦는 천'이라는 뜻이에요. 즉, 손에 묻은 물을 훔치거나 그릇 따위를 닦는 천 조각이라고 볼 수 있지요. 책에서 '쵸마'라고 표기한 말은 치마를 일컫는 말로 짐작하고 있고요. 그러니 행주치마라는 말이 행주산성이나 행주대첩 때문에 생겨난 말이라고 볼 수 없겠죠? 행주산성에서 행주라는 지명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나오는 기록으로 미루어볼 때 고려 초기에 이미 나온 이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요.

그런데 어떻게 이런 오해가 생긴 것일까요? 행주산성의 '행주'와 행주치마의 '행주'가 음이 같아서 그 어원(★)도 같을 것이라고 짐작했기 때문이에요. 이렇게 역사적 사실이나 구체적 자료, 과학적 방법 없이 낱말의 형태나 소리, 뜻의 우연한 유사성(★)으로 어원을 설명하려는 것을 민간어원설이라고 해요. 듣다 보면 그럴듯하게 들리기도 하지만, 역사적으로 연관성이 없는 두 낱말의 관련성을 억지로 찾다 보니 엉터리인 경우도 많아요. 행주치마가 행주대첩에서 비롯된 단어라는 이야기처럼 말이에요.


★전세(戰勢): 전쟁, 전투나 경기 따위의 형세나 형편.

★공적(功績): 노력과 수고를 들여 이루어낸 일의 결과.

★어원: 어떤 단어의 근원적인 형태, 또는 어떤 말이 생겨난 근원.

★유사성: 서로 비슷한 성질.
지호진 | 어린이 역사전문 저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