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여행
식물·곤충 표본 67만점… 백두산호랑이도 볼 수 있는 곳
입력 : 2013.10.23 08:51
[53] 포천 국립수목원
여러분, '산의 날'에 대해 들어본 적 있나요?
산림청이 정한 날로 매년 10월 18일에 산과 숲의 소중함을 기념하는 행사를 하고 있지요. 올해 '산의 날'에 국립수목원을 무료 개방해 많은 사람이 몰렸어요. 국립수목원을 한 번도 가보지 못해 어딘지도 모른다고요? 지금은 국립수목원이 경기도 광릉, 딱 한 곳에 있지만 앞으로는 세 곳 더 생긴다고 해요. 경북 봉화와 전북 김제 새만금 지역, 그리고 세종시에 각 지역 특색에 맞는 국립수목원이 꾸며진다는 거예요.
산림청이 정한 날로 매년 10월 18일에 산과 숲의 소중함을 기념하는 행사를 하고 있지요. 올해 '산의 날'에 국립수목원을 무료 개방해 많은 사람이 몰렸어요. 국립수목원을 한 번도 가보지 못해 어딘지도 모른다고요? 지금은 국립수목원이 경기도 광릉, 딱 한 곳에 있지만 앞으로는 세 곳 더 생긴다고 해요. 경북 봉화와 전북 김제 새만금 지역, 그리고 세종시에 각 지역 특색에 맞는 국립수목원이 꾸며진다는 거예요.
-
- ▲ 부모님과 숲길을 걸으면서 ‘나무만 보고 숲을 보지 못한다’는 말의 뜻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세요.
엄마 아빠와 함께 갈 국립수목원이 늘어나니 벌써 설레지요? 이 지역들에 국립수목원이 완성되는 건 일러야 2015년 이후라고 하니, 오늘은 경기도 포천에 있는 국립수목원으로 가볼게요.
이곳은 예전엔 '광릉수목원'으로 불렸어요. 광릉은 조선시대 7대 왕 세조의 왕릉이에요. 조카 단종의 자리를 빼앗고 왕위에 오른 세조는 자기 무덤도 직접 골랐다고 해요. 그는 왕릉 터를 비롯해 근처에서도 풀 한 포기 뽑지 못하게 했답니다. 세조가 1468년에 세상을 떠난 후 왕릉에 딸린 숲은 조정에서 직접 관리했지요. 이게 바로 지금의 국립수목원 숲이에요. 현재 주소도 '경기도 포천시 소홀읍 광릉수목원로'지요. 이곳은 일제강점기 때 임업시험림으로 지정된 후 1999년에 산림생물종 연구 기관이 들어서면서 수목원으로 이름이 바뀌었지요.
-
- ▲ 매시 정각에는 수목원 해설 프로그램이 열려요. 20명 안팎 관람객이 약 1시간 동안 설명을 듣지요. /최순호 기자
이렇게 다양하고 많은 생물종이 살아 있는 국립수목원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도 지정됐어요. 숲에 관해 뭔가 알고 싶다면 이곳에서 많은 궁금증을 풀 수 있어요. 숲을 안내하는 해설사 선생님도 있고, 박물관과 표본관도 있으니까 말이에요.
그뿐만 아니라 백두산호랑이를 비롯해 반달가슴곰, 늑대, 독수리, 수리부엉이 등도 볼 수 있어요. 동물원이 있거든요. 다만 동물원은 겨울엔 개방하지 않으니 11월 15일 이전에 가야 해요.
국립수목원이 일반인에게 공개된 것은 1987년부터지요. 그런데 사람들 발길이 잦아지면서 숲이 그 본래의 모습을 잃기 시작했어요. 지금은 인터넷으로 예약하지 않으면 갈 수 없게 되었답니다. 국립수목원에 들어갈 수 있는 날은 화요일부터 토요일까지예요. 일요일·월요일은 문을 열지 않아요. 평일에는 총 5000명, 토요일에는 총 3000명으로 입장 인원이 제한되지요.
국립수목원 가는 날엔 길가에 즐비하게 서 있는 나무들을 눈여겨보세요. 평지보다 약간 높은 언덕에 있는 광릉 근처엔 정희왕후릉도 있어요. 정희왕후는 세조의 부인이에요. 봉선사는 정희왕후가 세조가 숨진 후 명복을 빌었다는 절이에요. 이곳 입구에 있는 넓은 연꽃 공원이 근사하니 엄마 아빠 손 붙잡고 꼭 가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