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을 읽읍시다
"아폴로와 디오니소스의 충돌…
서로 자극돼 새로움 창출"
입력 : 2013.09.23 17:03
※다음은 프리드리히 니체가 쓴 '비극의 탄생' 원문 중 일부를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쓴 글입니다. 아래 빈칸에 어떤 단어가 들어가면 좋을지 생각해 보세요.
예술의 발전은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두 가지 성질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두 가지 말은 그리스인들에게서 빌린 것입니다. (①)적인 예술은 어떤 형태나 형상을 만드는 조형(造形)예술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눈으로 보이는 형태와는 거리가 있는 음악예술은 (②)적 예술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원과 목적이 다른 두 예술은 대립하면서도 상대를 자극해 새로운 것을 낳도록 이끌었습니다. (중략)
예술적으로 예민한 감각을 가진 사람은 철학자가 실제 현실을 대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꿈의 현실을 맞이합니다. 그는 꿈의 현실을 자세하고 빈틈없이, 그리고 즐거운 마음으로 눈여겨봅니다. 왜냐하면 꿈속의 형상들로부터 삶을 해석하고, 삶의 훈련을 하기 때문입니다. (중략)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마력(魔力) 아래에서는 인간과 인간의 결합만이 다시 회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소외되고 적대시되거나 억압돼온 자연도 다시금 그의 집을 나간 인간과 화해의 잔치를 벌이는 것입니다. 대자연의 넓은 땅은 선물들을 보내고 암벽과 사막의 사나운 짐승들은 온순하게 다가옵니다. 디오니소스의 수레는 꽃과 꽃다발로 덮이고, 표범과 호랑이가 그 멍에를 끌고 걸어갑니다.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한 폭의 그림으로 바꾸어 보세요. 수백만의 사람이 공포에 사로잡혀 땅에 엎드릴 때에도 물러서지 말고 상상의 날개를 펼쳐보세요. 그리하면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략)
예술의 발전은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두 가지 성질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두 가지 말은 그리스인들에게서 빌린 것입니다. (①)적인 예술은 어떤 형태나 형상을 만드는 조형(造形)예술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눈으로 보이는 형태와는 거리가 있는 음악예술은 (②)적 예술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기원과 목적이 다른 두 예술은 대립하면서도 상대를 자극해 새로운 것을 낳도록 이끌었습니다. (중략)
예술적으로 예민한 감각을 가진 사람은 철학자가 실제 현실을 대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꿈의 현실을 맞이합니다. 그는 꿈의 현실을 자세하고 빈틈없이, 그리고 즐거운 마음으로 눈여겨봅니다. 왜냐하면 꿈속의 형상들로부터 삶을 해석하고, 삶의 훈련을 하기 때문입니다. (중략)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마력(魔力) 아래에서는 인간과 인간의 결합만이 다시 회복되는 것은 아닙니다. 소외되고 적대시되거나 억압돼온 자연도 다시금 그의 집을 나간 인간과 화해의 잔치를 벌이는 것입니다. 대자연의 넓은 땅은 선물들을 보내고 암벽과 사막의 사나운 짐승들은 온순하게 다가옵니다. 디오니소스의 수레는 꽃과 꽃다발로 덮이고, 표범과 호랑이가 그 멍에를 끌고 걸어갑니다.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를 한 폭의 그림으로 바꾸어 보세요. 수백만의 사람이 공포에 사로잡혀 땅에 엎드릴 때에도 물러서지 말고 상상의 날개를 펼쳐보세요. 그리하면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략)
-
- ▲ ‘비극의 탄생’을 쓴 독일 철학가 프리드리히 니체입니다. 그의 사상은 서양의 철학·문학·예술 등에 큰 영향을 끼쳤지요. /Getty Images 멀티비츠
자연의 직접적 예술 상태들에 대해 모든 예술가가 모방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은 아폴로적 (③)의 예술가, 디오니소스적 (④)의 예술가, 끝으로 둘을 두루 갖춘 예술가 중의 하나일 것입니다. (중략)
디오니소스적 광란(미칠 듯이 날뜀)에서 자연은 비로소 예술적 환희에 이르게 됩니다. (중략) 디오니소스적 (⑤)은 그들에게 두려움과 떨림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음악은 그때까지 아폴로적 예술의 하나로 알려져 있었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리듬의 물결에 불과합니다. 아폴로적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리듬의 조형적 힘을 펼쳤을 따름입니다.(중략)
자기감정과 정서를 표현하는 시인(詩人)은 무엇보다 디오니소스적인 예술가입니다. (중략)
그리스 비극의 기원이라는 문제를 미로(迷路)라고 부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미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예술 원리들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중략)
프리드리히 니체가 1872년에 펴낸 ‘음악 정신으로부터의 비극의 탄생’은 그리스 비극(悲劇)의 기원과 본질에 대해 살펴본 책입니다. 이 책이 오늘날에도 의미를 갖는 이유는 비극과 음악을 통해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니체는 세계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머리(이성)뿐 아니라 온몸과 모든 정서를 동원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아폴로와 디오니소스의 특성을 두루 갖춰야 한다는 의미이지요.
정답: ①아폴로 ②디오니소스 ③꿈 ④도취 ⑤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