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어있는 세계사
영국의 여왕은 왜 '대통령'이 아닐까
입력 : 2013.09.06 10:45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상징적인 존재, 정치적 결정은 의회에서 하고 있어요
1689년 의회에서 공동 왕으로 추대한 메리와 윌리엄3세, '권리장전'에 서명… 의회의 권리 인정한다는 내용이었죠
그 후 의회 중심 정치 체제가 되었어요
영국, 덴마크, 스웨덴, 벨기에, 노르웨이, 스페인, 네덜란드, 일본, 캄보디아, 사우디아라비아.
이 나라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차이는 있지만, 아직 왕과 왕비가 존재하는 국가들이에요. 이 중에는 왕이 직접 통치하는 왕정을 실시하는 나라도 있고, 통치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상징적 존재이며 통치는 하지 않아요. 정치는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를 중심으로 법에 따라 이뤄지고 있지요. 이러한 영국 정치의 전통은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영국은 국민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의회가 다른 나라보다 앞서 만들어진 나라입니다. 1215년 존 왕은 귀족들의 권리를 재확인한 문서인 '대헌장(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에 서명했어요. 대헌장 이후 귀족·성직자의 힘이 강해져 의회 탄생으로 이어졌어요. 의회정치의 전통은 큰 자부심이었겠지요? 17세기, 평생 독신이었던 엘리자베스 1세가 죽고 친척인 스코틀랜드 출신의 제임스 1세와 찰스 1세가 차례로 왕위를 계승했어요. 이때부터를 스튜어트 왕조라고 불러요. 하지만 그들은 스코틀랜드와는 다른 영국의 의회를 이해하지 못했답니다. 의회를 무시하고 탄압하기를 여러 차례 반복하던 찰스 1세는 결국 왕위에서 쫓겨나 처형당하지요. 혁명에 가담한 의회 의원 대부분이 청교도였기 때문에 '청교도 혁명(Puritan Revolution, 1640~1660)'이라고 해요.
이 나라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차이는 있지만, 아직 왕과 왕비가 존재하는 국가들이에요. 이 중에는 왕이 직접 통치하는 왕정을 실시하는 나라도 있고, 통치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요.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상징적 존재이며 통치는 하지 않아요. 정치는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를 중심으로 법에 따라 이뤄지고 있지요. 이러한 영국 정치의 전통은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영국은 국민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의회가 다른 나라보다 앞서 만들어진 나라입니다. 1215년 존 왕은 귀족들의 권리를 재확인한 문서인 '대헌장(마그나 카르타·Magna Carta)'에 서명했어요. 대헌장 이후 귀족·성직자의 힘이 강해져 의회 탄생으로 이어졌어요. 의회정치의 전통은 큰 자부심이었겠지요? 17세기, 평생 독신이었던 엘리자베스 1세가 죽고 친척인 스코틀랜드 출신의 제임스 1세와 찰스 1세가 차례로 왕위를 계승했어요. 이때부터를 스튜어트 왕조라고 불러요. 하지만 그들은 스코틀랜드와는 다른 영국의 의회를 이해하지 못했답니다. 의회를 무시하고 탄압하기를 여러 차례 반복하던 찰스 1세는 결국 왕위에서 쫓겨나 처형당하지요. 혁명에 가담한 의회 의원 대부분이 청교도였기 때문에 '청교도 혁명(Puritan Revolution, 1640~1660)'이라고 해요.
- ▲ 영국 런던에 있는 버킹엄 궁전이에요. 영국 왕실의 사무실이자 영국 국왕의 주거지로 쓰이고 있지요. /Corbis 토픽이미지
찰스 2세를 이은 제임스 2세 역시 마찬가지였어요. 그는 노골적으로 가톨릭에 편중된 정책을 펴서 강한 불만을 샀지요. 특히나 가톨릭교도인 왕비가 아들을 낳자, 가톨릭교도가 아닌 국민의 불만은 극에 달했어요. 왕자가 자라서 왕이 된다면 계속 이렇게 차별받고 살 것 같아 걱정이 된 거죠. 사람들은 종교의 자유를 찾아, 혹은 정치적인 탄압을 피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하기도 했어요. 불만을 지닌 의원들은 제임스 2세의 딸로 네덜란드에 있던 메리 공주와 남편 오렌지 공(公) 윌리엄 3세를 불러들여요. 그 소식을 들은 제임스 2세는 왕비와 어린 왕자를 데리고 프랑스로 도망쳤답니다. 메리 2세와 윌리엄 3세는 공동으로 왕위를 계승했지요. 이렇게 피 한 방울도 흘리지 않고 이룬 정권 교체를 '명예혁명(Glorious Revolution 1688~1689)'이라 불러요. 자부심이 느껴지는 이름이지요? 새로운 왕은 '권리장전(Bill of Rights)'이라는 문서를 인정했어요. 의회와 백성의 권리를 인정하고, 국왕이 누리던 잘못된 특권은 포기한다는 내용이었어요. 그 후부터 영국은 '왕은 있지만 통치하지 않는 나라'의 전통을 가지게 돼요. 왕은 상징적으로 존재하며, 국민의 대표인 의회가 법에 따라 통치하는 입헌군주제 국가로 발전한 거죠. 이 법은 자유와 평등을 기본으로 인권을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 ▲ 1953년 6월 대관식을 한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군중에게 손을 흔들고 있어요. 엘리자베스 2세는 1952년 왕위를 계승했고, 올해 6월 대관식 60주년을 맞았답니다. /Getty Images 멀티비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