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쑥쑥 역사
총·능·원·묘… 신분 따라 부르는 무덤의 이름도 달라요
입력 : 2013.09.06 10:43
밀고 당기고 조르고 누르는 것으로 승부를 가려 단순해 보이던 유도에도 무게중심의 성질, 지렛대의 원리, 인체 관절의 특징 등 여러 과학 원리가 숨어 있다니 놀랍죠? 유도 같은 투기 종목 경기는 선수끼리 일대일로 맞붙어 힘과 기술을 겨루는 경기이지요. 특별한 도구나 장비, 시설이 없어도 경기를 쉽게 치를 수 있기에 그 역사가 무척 오래됐어요.
이미 삼국시대나 그 전부터 우리나라도 투기 종목 경기를 했음을 짐작할 수 있어요. 이를 보여주는 유적이 바로 '각저총(角抵塚)'과 '무용총(舞踊塚)'이란 이름의 고구려 벽화무덤이지요. 고구려가 도읍지로 삼았던 국내성, 즉 지금의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서 1935년 발견된 각저총과 무용총은 300~400년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돼요. 이 무덤들 속 벽에는 투기 종목 경기를 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어요.
이미 삼국시대나 그 전부터 우리나라도 투기 종목 경기를 했음을 짐작할 수 있어요. 이를 보여주는 유적이 바로 '각저총(角抵塚)'과 '무용총(舞踊塚)'이란 이름의 고구려 벽화무덤이지요. 고구려가 도읍지로 삼았던 국내성, 즉 지금의 중국 지린성 지안현에서 1935년 발견된 각저총과 무용총은 300~400년 무렵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돼요. 이 무덤들 속 벽에는 투기 종목 경기를 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어요.
-
- ▲ 고구려 벽화고분 ‘무용총’에는 이처럼 무용수가 무용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어요. 누가 묻혀 있는지 밝혀지지 않았지요. /토픽이미지
그렇다면 이 각저총과 무용총은 누구의 무덤일까요? 왜 이 무덤들의 이름에는 '총'이라는 단어가 붙었을까요? 총(塚)은 능이나 묘, 고분처럼 무덤을 가리키는 말이에요. 무덤 중 왕과 왕비가 묻힌 무덤을 '능(陵)'이라 불러요. 세자와 세자빈, 세손과 세손빈, 왕의 생모와 생부가 묻힌 무덤을 '원(園)'이라고 해요. 그 밖의 사람들이 죽어 묻히는 무덤은 '묘(墓)'라고 부르고요. 신분제 사회에서 무덤의 주인공 신분에 따라 무덤을 부르는 이름이 달랐던 것이지요.
-
- ▲ 세종대왕과 소헌왕후가 묻힌 ‘영릉(英陵)’이에요. 왕과 왕비가 묻힌 무덤은 ‘능(陵)’이라고 하지요. /문화재청 제공
또 옛날 무덤 중에서 무덤의 주인공이나 그 신분을 짐작하기 어렵고 역사적 또는 고고학적 자료가 될 수 있는 무덤 중 보편적인 유물만 출토된 무덤을 고분 또는 분(墳)이라고 부르는데 주로 무덤이 위치한 마을에 번호를 붙여서 이름을 정하는 경우가 많아요. 안악 3호분, 송산리 6호분처럼 말이에요. 무덤에 묻힌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게 되면 어떻게 되느냐고요? 그야 '능'이나 '묘'로 이름이 바뀌겠지요.